['95 부동산시장] 주택..재건축대상 노후 아파트중심 매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시장은 안정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거래는 다소 활발해질 전망이다.
3~4년 가까이 침체돼 있던 부동산 매기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조금씩
살아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함께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80년대말과 같은 가수요에 의한 과열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우선 올해에도 지역적인 편차는 있지만 주택공급물량이 실수요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부와 업계에서는 내년도 아파트 공급물량을 올해 실제 공급량 40여만
가구보다 약 15만가구 많은 55만가구로 잡고 있다.
여기에 미분양아파트가 지난 11월말현재(건설부집계) 전국적으로 9만8천6백
92가구로 93년말에 비해 3만가구이상 늘어났다.
건설부집계에서 제외된 소규모 아파트단지까지 감안하면 실제 미분양아파트
는 11만가구를 웃돌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추산이다.
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토지종합전산망이 올해부터 가동될 경우 토지는
물론 주택 가수요자들의 유입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올해 지자제실시등의 변수로 인해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먼저 올 상반기에 지자제선거가 실시될 예정이어서 상당량의 자금이 시중
으로 풀릴 것이고 과거 선거시절을 감안할때 정부의 규제강도가 약해질
가능성이 많다.
또 지역개발속도가 지자제 실시이후 더욱 빨라지고 지방정부로 대폭
이양된 각종 건설관련 인허가사항이 지역개발이라는 명목아래 경쟁적으로
남발될 우려도 없지 않다.
게다가 올해부터 해외부동산 취득이 사실상 자유화되고 외국이민자가
국내에서 주택매매를 할수있게되는 점도 올해 주택가격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요인이 미분양아파트가 거의 없는 서울및 수도권시장과
접목될 경우 의외의 활황세가 나타나고 이 여파가 지방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이같이 주택가격을 부추길 요인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주택가격 상승은
어려우며 미분양물량이 해소될 때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라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결국 올해 주택시장은 끝이 안보이던 침체의 터널을 일단 벗어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김철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1일자).
3~4년 가까이 침체돼 있던 부동산 매기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조금씩
살아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함께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80년대말과 같은 가수요에 의한 과열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우선 올해에도 지역적인 편차는 있지만 주택공급물량이 실수요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부와 업계에서는 내년도 아파트 공급물량을 올해 실제 공급량 40여만
가구보다 약 15만가구 많은 55만가구로 잡고 있다.
여기에 미분양아파트가 지난 11월말현재(건설부집계) 전국적으로 9만8천6백
92가구로 93년말에 비해 3만가구이상 늘어났다.
건설부집계에서 제외된 소규모 아파트단지까지 감안하면 실제 미분양아파트
는 11만가구를 웃돌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추산이다.
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토지종합전산망이 올해부터 가동될 경우 토지는
물론 주택 가수요자들의 유입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올해 지자제실시등의 변수로 인해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먼저 올 상반기에 지자제선거가 실시될 예정이어서 상당량의 자금이 시중
으로 풀릴 것이고 과거 선거시절을 감안할때 정부의 규제강도가 약해질
가능성이 많다.
또 지역개발속도가 지자제 실시이후 더욱 빨라지고 지방정부로 대폭
이양된 각종 건설관련 인허가사항이 지역개발이라는 명목아래 경쟁적으로
남발될 우려도 없지 않다.
게다가 올해부터 해외부동산 취득이 사실상 자유화되고 외국이민자가
국내에서 주택매매를 할수있게되는 점도 올해 주택가격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요인이 미분양아파트가 거의 없는 서울및 수도권시장과
접목될 경우 의외의 활황세가 나타나고 이 여파가 지방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이같이 주택가격을 부추길 요인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주택가격 상승은
어려우며 미분양물량이 해소될 때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라는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결국 올해 주택시장은 끝이 안보이던 침체의 터널을 일단 벗어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김철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