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정부의 자구노력 못지않게 외국및 국제금융기관의 멕시코지원책도
여러방향에서 나오고 있다.

세계경제가 거미줄처럼 연결된 현실에서 멕시코의 금융위기를 방치했다가는
자신들도 피해를 입을 것이기 때문이다.

멕시코의 경제위기해소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말할것도 없이 미국이다.

같은 NAFTA회원국인데다 지리적으로 바로 이웃하고 있어서다.

또 멕시코에 진출한 미국기업들이 많은데다 멕시코는 미국의 큰 수출시장
이기도 하다.

여기에다 멕시코는 미국이 무역흑자를 내는 몇 안되는 교역국중 하나여서
멕시코경제가 파탄할 경우 미국이 입게될 손실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미국은 처음에는 멕시코의 금융시장혼란이 일과성 해프닝으로 판단, 관망자
세를 취했다.

단지 이전에 체결한 미-멕시코외환스와프협정에 의거, 67억달러의 외환
안정기금중 일부를 멕시코중앙은행이 빼내 쓸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작년 연말을 지나 새해로 접어들어도 혼란이 계속되자 지난 2일
총 1백80억달러의 국제금융지원을 해주는 긴급대책을 발표했다.

이중 90억달러와 10억달러는 각각 미정부와 캐나다가, 나머지는 국제결제
은행(BIS) 50억달러, 미.일.캐나다의 민간은행들이 30억달러씩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미국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연준리(FRB)를 통한 외환시장개입조치도 취해
페소화 회복에 진력했다.

FRB는 지난주초 멕시코외환시장에 참여, 달러를 팔고 페소를 매각하는
외환안정작전을 펼쳤다.

일본도 멕시코정부의 자금지원요청을 수락, 상당금액의 지원을 약속했다.

일본은 대멕시코경제지원을 중남미지역에 대한 영향력확대의 기회로 삼고
있는 듯하다.

위기시에 일본이 적극 도와주면 중남미국들의 대일신뢰도를 높일수
있으리라는 속셈을 갖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멕시코에 구원의 손길을 뻗쳐 일정 기간동안 일정
규모의 IMF자금을 사용할수 있는 스탠드바이차관라인을 열어줄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