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이 끝없는 하락행진을 계속함에 따라 그 후유증이 확대되고
있다.

<>신저가종목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주식형수익증권에 대한 환매증가
<>담보부족및 깡통계좌증가등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증시의 후유증을
정리한다.

[[ 담보부족계좌 증가 ]]

주가급락으로 담보보족계좌와 깡통계좌도 늘어나 원금을 날리는 투자자
들이 속출하고있다.

매입가격보다 22%이상 하락해 담보를 추가 제공해야하는 담보율 1백30%
미만의 계좌는 지난 21일 3백12개에서 23일 5백5개 24일 8백88개로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중 원금을 날리게되는 담보율 1백%미만의 깡통계좌는 18개선에서
20개로 늘어나고있으며 1백10%미만과 1백20%미만도 각각8개 57개로
21일보다 3배정도 늘어났다.

증권회사 한관계자는"담보율이 1백30%이하로 내려가면 투자자를 설득해
손절매하고있으나 주가가 급락하다보니 팔기회조차 없었다"면서 깡통계좌
를 정리하는데 걱정이라고 말했다 주식시장이 끝없는 하락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종합주가지수는 25일 간신히 보합권을 유지했지만 고가대형주들을 빼고
본다면 추락의 길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에따라 후유증이 벌써 나타나고 있다.

안정된 수익율을 겨냥,투신사에 자금을 맡긴 간접투자자들도 깡통계좌에
시달리는 직접투자자처럼 피해를 보기는 마찬가지이다.

해외에서 저리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들의 계획도 차질을 빚고 있다.

[[ 기준가 밑도는 펀드 ]]

증시폭락세로 주식형 펀드들이 대거 기준가를 밑돌면서 간접투자자들도
피해를 면키 어렵게 됐다.

특히 증시주가가 정점에 달했던 지난해 10월-11월사이에 설정됐거나
주식편입비율이 높은 펀드들은 손해가 막심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한투 대투 국투등 투신3사가 운용하고 있는 주식형 펀드는 모두
4백42개로 이중 54.1%에 달하는 2백39개가 기준가를 밑돌아 손해가
난 펀드들로 나타났다.

주식형 비율이 80%로 지난해 10월 중순에 설정된 한투의 한 펀드는
24일 현재가격이 기준가 1천원 대비 25%가량이 하락한 수준이며 대투가
운용하는 펀드중에서도 20%가까운 하락율을 보인 것이 생기고 있다.

지난해 11월초순 국투가 설정한 한펀드도 17%대의 하락율을 보였다.

한편 투신관계자들은 "주식형 펀드에 들어온 자금들은 대부분 장기
성격이어서 아직까지는 환매사태가 생기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 주식형수탁고 급감 ]]

주식시장의 흐름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투신사들의 수탁고는
감소세는 감소세로 돌아섰고 주식형은 이탈조짐이 뚜렷하다.

투신3사의 전체 수탁고는 지난해말 39조9천9백68억원에서 지난 24일
현재 9백40억원이 줄어든 39조9천28억원을 기록,지난해 8월이후 처음
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투신사의 수탁고는 장기공사채형 단기공사채형 주식형 신탁형으로
나뉘는데 주식투자와 관련된 장기공사채형과 주식형이 급감추세였다.

주식형은 1천6백76억원,장기공사채는 1천1백91억원이나 줄었다.

그러나 증시 폭락세속에 시중 실세금리가 치솟음에 따라 단기공사채형은
1천6백27억원이 증가하는 기현상을 연출하고 있다.

[[ 신저가종목 증가 ]]

주가급락으로 신저가종목이 속출하고 있다. 종합주가지수가 973.06을
기록한 지난20일이후 신저가종목은 21일 1백76개, 23일 2백93개였던
것이 24일 4백62개로 늘어났다.

[[ 해외증권발행 차질 ]]

해외투자자들의 반응이 시들짐에 따라 주식연계 해외증권을 발행해
저리자금을 조달하려던 국내기업들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1.4분기 해외증권 발행예정 기업들은 일단 주가폭락세는 피하고
보자면서 발행시기를 대거 늦춰 잡았다.

고합상사가 다음달 7일에서 3월 7일로,한국이동통신이 다음달 27일에서
3월 6일로,대우가 다음달 20일에서 3월 13일로 각각 발행기기를 연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발행연기가 불가능했던 기업은 악화된 발행조건을 감수해야만 했다.

지난 20일 유로시장에서 1천5백만달러어치의 해외전환사채를 발행한
대우금속은 표면이율은 0.25%,프리미엄이 22.4%로 결정됐지만 만기상환
보장수익율(YTP)은 국내 업체들의 평균 수준(7-8%)보다 크게 높은
9.842%였다.

따라서 해외투자자가 주식전환을 하지 않고 만기에 상환받을 경우
이회사의 부담은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