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총외채 GNP의 13% 485억불, 우려수준 아니다..재경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한국의 총외채는 지난해6월말현재 4백85억달러로 국민총생산
(GNP)의 12.9%에 달하고 있으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3일 재정경제원은 "외채통계분석"이란 보고서를 통해 국제결제은행
(BIS)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외채규모는 지난해 6월말현재
5백20억달러로 멕시코 브라질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4위라고 발표한
것은 통계상 차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경원은 BIS의 외채통계는 한나라의 총대외채무액중에서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외채를 제외하고 법인의 해외투자용 해외차입은
포함시키고 있어 한국정부통계와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공공부분을 포함할 경우 한국의 외채는 5백47억달러(93년말)로 4위가
아닌 7위로 밀려난다는 것. 재경원은 외채는 총외채에서 대외자산을
뺀 순외채가 더 중요하다고 전제,한국의 순외채는 94년6월말현재
94억달러로 GNP의 2.5%에 그쳐 미국(8.0%)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외채의 과다여부를 판정하는 외채상환부담률(DSR; Debt Service
Ratio )도 9.1%로 아르헨티나(47.6%) 멕시코(32.7%) 브라질(24.4%)
인도네시아(32.6%) 중국(29.2%)보다 훨씬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DSR이란 한나라가 수출과 무역외수입등으로 번 외화중 외채원리금을
갚는데 얼만큼 사용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숫자로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선 이를 30%이하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외채는 지난86년만해도 4백45억달러로 GNP의 43.3%에
달한데다 DSR도 22.6%(87년은 30.8%)에 이르러 "외채망국론"이 거론
되기도 했었다.
< 홍찬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4일자).
(GNP)의 12.9%에 달하고 있으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3일 재정경제원은 "외채통계분석"이란 보고서를 통해 국제결제은행
(BIS)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외채규모는 지난해 6월말현재
5백20억달러로 멕시코 브라질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4위라고 발표한
것은 통계상 차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경원은 BIS의 외채통계는 한나라의 총대외채무액중에서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외채를 제외하고 법인의 해외투자용 해외차입은
포함시키고 있어 한국정부통계와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공공부분을 포함할 경우 한국의 외채는 5백47억달러(93년말)로 4위가
아닌 7위로 밀려난다는 것. 재경원은 외채는 총외채에서 대외자산을
뺀 순외채가 더 중요하다고 전제,한국의 순외채는 94년6월말현재
94억달러로 GNP의 2.5%에 그쳐 미국(8.0%)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외채의 과다여부를 판정하는 외채상환부담률(DSR; Debt Service
Ratio )도 9.1%로 아르헨티나(47.6%) 멕시코(32.7%) 브라질(24.4%)
인도네시아(32.6%) 중국(29.2%)보다 훨씬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DSR이란 한나라가 수출과 무역외수입등으로 번 외화중 외채원리금을
갚는데 얼만큼 사용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숫자로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선 이를 30%이하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외채는 지난86년만해도 4백45억달러로 GNP의 43.3%에
달한데다 DSR도 22.6%(87년은 30.8%)에 이르러 "외채망국론"이 거론
되기도 했었다.
< 홍찬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