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에도 환경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환경시설을 갖추고 환경기준을 지키는 기업은 자금을 빌리기가 한결 쉬워
지는 한편 그렇지 못한 기업은 금융지원을 얻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시대가
온 것이다.

수출입은행 뉴욕사무소는 7일 미국수출입은행이 지난해12월 기술환경부를
신설하는 한편 새로운 환경영향평가기준을 제정,이기준에 부합하는 프로젝
트에 대해서만 수출금융을 지원할 계획을 세웠다고 알려왔다.

환경보존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서의 건설공사및 공사기자재수출
거래,공기및 수질오염 유해물질방출 자연생태파괴등과 관련되는 수출거래에
대한 수출금융지원에는 환경영향평가기준에 따른 심사를 한다는 것이다.

수출입은행 뉴욕사무소는 이에따라 미국수출입은행이 OECD(경제협력개발기
구)가입국등에도 이와 유사한 기준제정을 요구하는등 압력을 넣을 가능성이
높다며 사전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출입은행의 한관계자는 "지난해초 IBRD(세계은행)도 환경가이드라인을 제
정하는등 국제금융계에서 금융에도 환경보존정책을 도입하는 추세로 가고 있
어 우리나라도 이와 관련한 압력을 의식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수출입은행측은 특히 우리나라가 OECD가입을 추진하고 있어 이같은 환경기
준제정및 준수를 준비해야할 것으로 예상,국제개발금융기관의 환경정책자료
수집에 착수하는등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

산업은행도 환경관련사업체와 환경설비를 도입하는 일반기업체의 자금수요
가 급증함에 따라 환경분야지원자금을 크게 늘리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환경개선지원팀을 신설하면서 환경관련업체등에 대한 지
원자금으로 당초 8백억원을 배정했으나 승인규모는 1천4백억원수준에 달했
다.

산업은행은 올해 집행규모를 1천억원으로 늘려잡고 승인규모가 2천억원수준
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 김성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