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의 민영화방안이 "주인없는 민영화"로 가닥을 잡아가고있다.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정부지분을 매각하되 지분율을 1%정도로 제한,
누구도 경영권을 행사할 수없도록하는 방식의 민영화다.

13일 포철민영화방안 마련을 위해 작년5월 구성된 특별경영진단반의
한관계자는 연구용역을 맡은 한국개발연구원이 이같이 방향을 잡고 막바지
작업을 하고있으며 경영진단반도 이방안에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경영진단반은 이달말로 예정된 KDI의 중간보고와 3월말의 최종보고를
바탕으로 포철의 민영화여부및 민영화방안을 확정,정부에 제시토록 돼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대주주로서 경영에 간섭을 하는 것보다는 실질적인
전문경영인체제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정부주식(산업은행지분 포함
34.7%)을 개인이 아닌 기관투자가들에게 파는 쪽으로 줄기를 잡았다고
설명했다.

이관계자는 또 민영화의 시기및 주식매입자격은 추후 별도의 기획팀을 구성,
결정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특별경영진단반은 주인없는 민영화로 방향을 잡은만큼 포항과 광양제철소도
분리하지않고 현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진단팀은 그러나 철강산업의 신규진입이 자유화될 경우 공급과잉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투자는 기업이 알아서 결정할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해서는 않되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