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그룹의 이번 경영구조개편은 김우중회장이 그동안 추구해 온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체제의 완결판이다.

이는 계열사의 운영면에서는 그룹해체에 가까운 대변혁으로 평가되고있다.

현대그룹과 삼성그룹등이 선단식경영과 계열사별 독립경영의 절충형으로
도입한 소그룹경영제 보다 한단계 앞선 것으로 향후 재계에 미치는 파장이
클것으로 보인다.

대우그룹관계자는 이와관련,"전문경영인에 의한 자율경영체제를 확고히하여
세계경영을 더욱 심화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설명한다.

이번 개편에서 두드러진 것은 그룹총수로서의 김회장 권한을 대폭
축소하면서 계열사의 거대화를 추구한 점이다.

대우는 그룹의 최고의결기구인 그룹운영위원회와 기획조정실을 폐지하여
김회장이 계열사경영(자동차제외)에 관여할수 없도록 제도화했다.

신규사업,자금조달,인사등 계열사경영의 모든 권한을 각사회장에게 일임,
오너중심의 경영구조를 탈피했다.

이번에 임명된 회장과 사장은 공동으로 기업경영책임을 지고 경영성과에
따른 인사권도 독자적으로 행사하게된다.

대우의 각사회장제 도입은 각계열사가 보다 공격적인 경영기법을 구사할
것을 예고하는 것이다.

김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조직원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기위해 책임과 권한을 과감하게 위양할것"을 천명한바 있다.

대우는 이와함께 단위기업의 거대화를 추진,단일기업으로서도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계획이다.

"홀로서기"가 어려울 정도의 소규모 계열사의 합병과 매각도 전계열사에
책임경영제도를 확고하게 뿌리내리기 위해 배수진을 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대우그룹의 관계자는 "단위기업의 자본금과 자산규모가 일정규모이상
유지돼야 독자적인 자금조달등이 원할하게 이뤄져 세계경영을 성공적으로
이룰수 있다"며 계열사축소 배경을 설명했다.

대우가 도입한 각사회장제와 거대기업화,세계경영은 이같은 의미에서 동일한
축에 놓여있다.

이번 구조개편과 함께 창업세대와 전문경영인으로 영입된 인사들이 전면으로
부상,본격적인 전문경영인시대가 열렸다.

창업세대인 이우복,윤영석부회장과 전문경영인인 서형석 이경훈부회장
박성규 배순훈 장영수사장이 각각 각사회장단으로 발탁되어 김우중회장과
동일한 선상에서 경쟁을 하게됐다.

이와함께 부사장급을 대폭 늘리는등 고위급 임원의 대폭 승진을 통해 차세대
전문경영인의 저변을 확대했다.

이번 인사에서 신임이사의 연령층도 40대초반으로 젊어졌다.

대우는 또 소유와 경영을 지속적으로 분리하여 친인척의 주식보유와
경영참여를 배제해온 원칙을 철저히 지킬것을 약속하고 있다.

세계경영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릴수 있도록 정부의 소유분산정책등으로
생길수 있는 장애를 사전에 제거하자는 의도이다.

대우그룹이 이번에 경영개혁을 단행할 수있었던 것은 김우중회장이
계열사 지분이 많지않은데다 그동안 친인척의 경영참여를 배제하고
창업세대와 전문경영인을 중심으로 그룹을 운영해왔기 때문이다.

지난1년간 부평자동차공장에 상주하면서 자동차부문 경영에 전념해오면서
이부문에서 상당한 자신감을 가진 점도 경영구조개편을 이룰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