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그룹에 지주회사 설립을 허용해 사업다각화를 유도하자는 일본정부의
정책은 최근 한국정부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업종전문화 시책과 판이하게
달라 주목된다.

국내에선 최근 정부시책과 관련,현대 삼성 대우등 주요 대기업그룹들이
기조실을 해체하고 일부 계열사를 정리하는 조치를 취했었다.

물론 국내 대기업그룹의 이같은 "몸집 줄이기"작업은 이른바 선단식경영이
야기하는 사업의 방만함등 문제점을 개선하자는 내부 필요성에 의해
이뤄지는 측면도 있는게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정부의 최근 정책수정 움직임은 반드시 "다각경영=악"이란
등식이 성립될 수만은 없다는 일면도 엿보게 한다.

일본정부는 지주회사 부활을 허용키로 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로
<>기업이 산업구조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키 위해서는 분사화 제휴 합병
등에 의한 사업구조 재편및 다각화가 필요하며 <>설령 대기업의 업종이
다변화되더라도 개방경제시대인 만큼 내부거래등의 부작용이 빚어지기
힘들다는 것등을 들고 있다.

<이학영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