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우리나라에 신용카드가 본격 도입된지 16년째를 맞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총 카드발급장수가 2,400만장을 넘어서고 연간 취급고가
40조원을 웃도는등 비교적 짧은 기간에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는 신용카드가 국민들의 경제생활에 밀착되어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신용카드산업이 성숙기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

한국신용카드업협회 남정우회장(삼성신용카드사장)을 만나 국내신용카드
업계의 당면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한 얘기를 들어봤다.

-신용카드업계의 당면과제는.

"국내카드업계가 그동안 양적 성장에 치중하다 보니 부실회원과 불량
가맹점 양산등 후유증이 다소 노출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이런 후유증을 조기에 정상화시키고 향후 불량회원과 가맹점이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더구나 카드이용액 증가에 따라 늘어나는 부실채권방지를 위해 각사가
최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협회차원에서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일은.

"신용카드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바로잡아 올바른 이미지를 정립하는데
힘을 쏟을 생각이다.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일부의 우려도 있으나 이는 신용카드의 순기능을
도외시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신용카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해선 우선 부실채권방지를
위한 업계 공동 정보망 구축이 필요하다.

이런 제도적 장치아래 회원사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강화해 나갈 계획
이다"

-카드업계가 공동이익추구를 위해 해야할 일은.

"가맹점수수료율의 경우 각사의 지나친 가격경쟁으로 일부 업종에서는
최저 손익분기점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업체간 지나친 가격경쟁을 자제하고 경영효율화를 통한 경쟁력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업계 공동의 가맹점매출표 제작이나 공동 스티커부착등도 비용절감및
사용표준화 측면에서 고객들의 편의를 높일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것이다"

-업계 현안인 부실채권회수에 대한 공동대처방안이 있다면.

"업계공동으로 신용불량등재 기준을 강화하거나 불량회원정보를 공유하는
방법등을 생각할수 있다.

부실채권의 회수못지않게 중요한건 사전에 채권관리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신용카드업법 위반시 받는 불이익을 강화하거나 협회 공동의
불량회원 조기경보시스템도입도 필요하다고 본다"

-신용카드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걸림돌이 있다면.

"카드위변조 불법현금대출 전표유통 수수료전가등 불법거래가 가장 큰
저해요소가 아닌가 한다.

특히 이같은 수법이 갈수록 지능화 국제화되고 있어 업계의 검증시스템
구축과 관계당국과의 긴밀한 협조가 절실하다.

또 정책당국에 대해선 신용카드사간의 업무제휴에 대한 사전승인제도를
사후신고제로 전환, 카드사들이 금융권및 유통업체등과 활발히 제휴해
고객들의 편의를 제고시킬수 있도록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카드업에 대한 정부의 행정규제에 대한 생각은.

"금융시장개방을 앞두고 카드업은 자생력배양이 시급하다.

아직도 통화팽창이나 경기과열의 진정책으로 신용카드를 우선 손꼽는등의
행정규제는 경쟁력강화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

카드사의 사용한도및 금리운용도 탄력적으로 해야 바람직한데 연초 금리
인상 진정책으로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한도를 축소한 것은 너무 성급한
조치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