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예측은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장율이 높아질것 같으면 주가는 서너달 앞서 오르기 마련이다.

반대로 성장율이 둔화되면 당장 실물경제가 호황을 누리고 있어도
주식시장은 찬바람이 불게된다.

실제로 92년 8월이후 종합주가지수의 중기파동은 분기별 경제성장률
보다 2~5개월 선행해 움직였다.

그렇다면 요즈음처럼 주가가 연중 최저치를 갱신하면서 곤두박질치는
것은 성장율의 급격한 둔화를 우려하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한
때문인가.

경기와 주가의 관계만으로 국한시켜본다면 그렇다고밖에 말할수없다.

지난해 4.4분기와 올 1.4분기의 경제성장률이 9%를 웃돌았고 지자체
선거를 전후한 2.4분기의 경우 정부의 경기제어력 기대할 수 없어
성장률이 8.5%수준을 웃돌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올들어 기회있을때마다 정부가 내세웠던 긴축정책이 국내 경기조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재정지출을 최대한 억제하고 민간부문의 투자을 지연토록
정책을 펼쳤다고 하지만 긴축의 시기를 이미 놓치고 말았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주식시장만 보더라도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구태의연한 경제정책이
확인되고 있다고 주식투자자들은 강조한다.

과열의 초기단계부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유도하려는
게 긴축정책의 목표다.

정부가 실기를 했다는 지적은 당초에 정부및 민간연구소들의 경기예측이
잘못된데서 시작된다.

지난해 12월말 대우 대신등 민간연구소는 물론 일부 정부기관조차
지난해 4.4분기의 성장율을 8%이하로 예측했었다.

그러나 실제 성장율은 9.3%에 달했다.

첫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셈이다.

경기와 관련해 투자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뒤늦게 긴축의 필요성을
느낀 정부가 지자체선거가 끝나면 돈줄을 죄고 성장율을 끌어내릴수 있는
정책을 펼칠 것이란 점이다.

인플레에 대한 우려와 연착륙을 위해선 성장률을 적어도 7%대로 낮춰야
한다.

그럴 경우 주식시장은 요즈음보다 더 가혹한 시련기를 면키어렵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장의 투자자들이 요즈음처럼 미래를 불투명하게 보던 예도 없었다는
지적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연착륙성공을 확인한 후에야 투자에 나서려고
할것이라는 진단도 있다.

그래서 침체의 늪이 한없이 늘어지고 있는지 모른다.

< 이익원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