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호조로 생육이 활발해 지고있는 채소류가 산지출하량 증가로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일류도 참외를 비롯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수산물은 수온의 온난화현상으로 어군이 형성되지않아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생태,갈치,삼치등 대중선어류가 전반적으로 높은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곡물류는 일반미가 강세로 전환되고 있고 잡곡류는 봄철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참깨가 오름세를 보였을뿐 여타 품목은 약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 햇배추의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품이 포기당
3백원이 또 내려 1천원의 약세를 나타내고 있고 무 역시 햇품이 개당
1천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묶은 무는 개당 5백원선의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알티리무와 열무(일산산)도 상품이 한단에 1백원과 8백원이 떨어져
1천5백원과 1천2백원에 거래되고 있고 가지도 물량이 계속 증가하면서
개당 2백원이 또 떨어져 3백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상추와 쑥갓도 서울근교의 출하량 증가로 상품이 4백g당 3백원과 1백원이
하락해 7백원과 5백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부추와 시금치도 한단에 3백원과
1백원이 내려 5백원과 3백원에 판매되고 있다.

봄나물들도 돈나물과 취나물이 4백g당 5백원씩 내려 1천5백원과 1천원에
거래되고 있고 비듬나물이 첫선을 보이면서 한단에 4백원을 형성하고 있다.

과일류는 참외 상품이 개당 5백원이 내려 2천원에 토마토와 미니토마토는
kg당 5백원과 1천원이 떨어져 3천원과 6천원에 판매되고 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 제철을 맞고서도 어획량이 늘어나지않고 있는 조기가
마리당 2만5천원(4단상머리)선의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고 생태도 중품이
마리당 5천원선의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갈치 또한 물량이 많지않은 상태에서 육질이 좋은 상품의 반입이 거의 없는
가운데 중품이 마리당 2천원이 올라 1만6천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병어 또한 상품이 물량이 많지않은 상태에서 마리당 1만5천원선의 강세를
보이고 있고 고등어는 대고등어의 반입이 없는 상태에서 소고등어가 7마리에
3천원의 비교적 낮은시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젖갈용 생멸치가 예년보다 10여일 일찍 선을 보인 가운데 상품이
kg당 3천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 중앙곡물시장 = 일반미가 도매단계에서 80kg당 2천원선이 올라 경기미와
호남미가 12만7천원과 11만7천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소매단계에서는 상승폭이 적어 20kg당 3만5천원과 3만3천원선의
보합세가 지속되고 있다.

참깨도 소매단계에서 말당 2천원이 또올라 4만원선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조재현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