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5일 총 연장 40.1km에 달하는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중
한강대교~용비교 내부구간 8.2km가 오는 27일 부분 개통된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이 도로가 세그먼트공법으로 지어져 제설제인 염화칼슘의
사용으로 부식을 심화시킬 우려가 높다는 지적에 따라 한강대교~용비교
구간을 내년말까지 승용차만 다닐 수 있는 승용차전용도로로 지정키로
했다.

최병렬서울시장은 15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않는 세그먼트공법으로 이뤄져 염화칼슘의 사용으로
부식이 우려된다"며 이 도로를 <>승용차 전용도로로 사용하거나 <>눈이
올 때 도로에 뿌린 염화칼슘을 물로 세척하는등 선행조건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시는 이에따라 경찰청과 협의를 거쳐 내년말 외부구간 4차선이 개통될
때까지 내부구간(왕복4차선)은 화물차이용을 금지하고 차량속도도 시속
80km로 돼있는 당초 설계와 달리 60km이하로 제한키로 했다.

최시장은 부실시공으로 지어진 이유에 대해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에
열처리시스템이 갖춰져 있지않는 바람에 눈을 녹이기위한 염화칼슘이
도로의 노후화를 촉진,20년후에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최시장은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않는
"세그먼트공법"으로 지어졌다며 센그먼트당 지속하중 50t과 차량무게등을
감안하면 교량등 도로구조물의 균열과 부식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국내서는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에 처음 도입된 세그먼트공법은
콘크리트공법과 달리 개당 길이 2.75m의 세그먼트(조각)를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으로 운반,크레인으로 끌어올려 상판을 완성한 뒤
세그먼트밑으로 강선을 연결해 안정을 꾀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세그먼트공법은 미국 일본등 건설선진국에서 최근에야 적용하기
시작한 공법으로 미국은 눈이 오지않은 남부지방에서만,일본은 동남아
시장에서만 이 공법을 채택,도로등 구조물을 건설하고 있다.

한편 한편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구간중 성산대교~홍제동 5.0km구간은
오는 7월에,성산대교~당산철교간 3.0km는 내년 6월에 각각 개통하고
나머지 구간은 내년말에 완공할 예정이다.

<방형국.송진흡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5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