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은 29일 특별담화문을 통해 앞으로의 정국구상에 대한 한
단면을 밝혔다.

김대통령은 이날 담화에서 "지역할거주의정치를 극복하는데는 세대교체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고 강조했다.

지방선거결과가 극심한 지역감정에 의한 것이니 만큼 그결과를 수용하기
보다는 타파해야될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신3김시대"가 실질적으로 개막됐지만 결코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과 김종필 자민련총재가 현실적으로 이번 선거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쳤지만 양김과의 협조나 공존방식은 모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김대통령의 입장은 "세대교체론"을 통해 보다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날담화에서 김대통령은 "세대교체는 이미 국민의 절대다수가 소망하고
지지하는 국민적 합의 "라고 전제, "나는 이러한 국민의 뜻에 따라 다음
대통령은 반드시 차세대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도록 대통령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선거에서 확인된 양김의 정치적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3김구도
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집권여당이 참패함으로써 앞으로 겪게될 정국운영의 어려움도 "세대교체론"
이라는 정공법을 사용, 김대통령 특유의 돌파력으로 헤쳐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는 지방선거결과 나타난 "신여소야대"정국에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내각제개헌론에 대한 김대통령의 응답이기도 하다.

김대통령은 특히 세대교체를 언급하며 "다음 대통령"이라는 표현을 사용,
야당의 내각제추진은 받아들일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내각제가 3김구도를 정치적으로 인정해야 성립하는 제도라면 세대교체를
앞세운 차기 대통령선거는 3김시대의 종식을 염두에 둔 정치구도라고 볼수
있다.

따라서 이번 지방선거결과 나타난 김의 부활과 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김대통령의 대결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김대통령의 세대교체는 내년 4월로 예정된 15대총선 공천과정에서 대폭적인
물갈이로 나타날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 나타났듯이 또다시 지역할거주의가 재연되면
세대교체만으로 총선에서 이긴다는 보장이 없다는데 여권수뇌부의 고민이
있다.

세대교체는 인위적이기 보다는 국민의 선택에 의해 이뤄져야 할 대상이기
때문이다.

집권여당이 이탈된 민심을 수습, 세대교체론을 관철시킬수 있는 정치적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김대통령의 고심이 있다.

< 최완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