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구국무총리는 10일 "북한에서 쌀 추가지원을 요청해올 경우
금년 수확기이전에는 지원하기가 어렵다"면서 "추가 쌀지원여부는
올가을 작황과 내년 비축분등을 종합 고려하고 특히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총리는 이날 국회대정부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가
"쌀을 수입해서라도 제공하겠다"는 정부입장에 대해 "긴장완화에 도움
이 된다면 북한주민이 심각한 식량난에 처했을때 국민의 동의를 구해
외국쌀을 수입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수 있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해명했다.

이총리는 남북정상회담과 관련,"긴장완화와 신뢰회복,특히 핵문제와
같은 현안의 해결을 위해 필요하다"며 "북한의 새 지도자 등장이후 그
구체적 절차와 방법을 논의할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총리는 "그러나 이달말로 예정된 김영삼대통령의 미국방문중 정상
회담을 제의할것이라는 일부 보도는 정부 입장과는 하등 관계가 없다"
고 말했다.

나웅배부총리겸 통일원장관은 "이달중순 열릴 남북한 쌀관련 2차회담은
쌀이외 다른 의제도 함께 논의하기를 희망하지만 남북회담은 언제든지
깨질수 있기 때문에 한가지씩 접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대북 쌀지원문제와 관련,박명환의원(민자)은 "정부는 국민 동의
없이 무책임하게 일방처리,국민 대다수는 지방선거를 겨냥한 졸속결정이
었다고 의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준익의원(민주)은 "북침을 주장하는 북한이 6.25 45주년을 맞이해
남한이 사죄의 뜻으로 쌀을 보내왔다고 왜곡선전하면 누가 책임지겠느
냐"며 "국민 안보의식고취에 중대한 역기능을 초래했다"고 질타했다.

< 김삼규.김태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