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부총재직 신설 .. 김대통령, 당체제개편 무엇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자당총재인 김영삼대통령의 당에 대한 "중대결정"은 과연 무엇일까.
당내에서는 지도체계 개편과 관련, 갖가지 견해가 분분하나 현행 대표제를
없애는 대신 복수 부총재직을 신설하는 방안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는게 여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민주.민정계의 수장격인 최형우의원과 김윤환사무총장은 복수 부총재제의
도입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복수 부총재제는 지역대표성을 갖춘 5~7명의 실세중진들을 전면에 배치
하겠다는 것.
복수 부총재제는 "후계"를 겨냥한 이들간 선의의 경쟁 특히 내년 총선에서
의 전력투구를 유도, 제1당 위치를 확고히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제도의 도입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거론되면서부터 "대통령의
통치스타일과 맞지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총재로 거명되고 있는 최형우 김윤환 이한동 이춘구 황인성 김덕룡의원과
서석재총무처장관등이 무리지어 움직이는 모습은 집단지도체제를 연상시키는
데다 "암투"로 인한 혼란도 예상할수 있다.
중진들의 의견이 제대로 조정되고 합리적으로 결론을 도출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백가쟁명" 양상이 빚어지면 김대통령의 스타일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때문에 급부상하고 있는 방안이 당의장제 신설과 수석부총재를 두는
것이다.
당의장제는 총재가 당의장을 통해 당을 관장하되 당의장은 자신과 부총재로
구성된 당무집행위를 거쳐 당무를 집행하는 체제.
반면 수석부총재는 말그대로 총재가 복수의 부총재중 한사람을 지명하는
것.
두 방안은 명칭만 다를뿐 당 운영방식은 대동소이하다.
당의장이나 수석부총재제의 경우 총재와 당의장 또는 수석부총재 사무총장
으로 이어지는 단일지도체제의 골간을 유지하자는 방안이다.
여기서 민주계와 민정계의 생각이 다르다.
우선 당의장이든 수석부총재직을 신설하든 자파가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당의장 또는 수석부총재자리에 누가 앉느냐는 차기구도와도 맞물려 있어
예단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당내에서는 김대통령이 범여권 끌어안기와 "이탈자" 최소화를 염두에
둔다면 김총장의 기용이 유력시되며 민주계 우선의 종래 인선방식을 고집할
경우 최의원이 발탁될 공산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특정 계파의 당의장 수석부총재임명은 당내 힘의 균형을 무너뜨려
자칫 분당으로까지 이어질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볼때 무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김대통령이 "솔직히 말해서 어떤 안에 대해 구체적 검토를 못하고 있다"고
언급한 점도 "저울질"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단적으로 반영해 주고 있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4일자).
당내에서는 지도체계 개편과 관련, 갖가지 견해가 분분하나 현행 대표제를
없애는 대신 복수 부총재직을 신설하는 방안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는게 여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민주.민정계의 수장격인 최형우의원과 김윤환사무총장은 복수 부총재제의
도입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복수 부총재제는 지역대표성을 갖춘 5~7명의 실세중진들을 전면에 배치
하겠다는 것.
복수 부총재제는 "후계"를 겨냥한 이들간 선의의 경쟁 특히 내년 총선에서
의 전력투구를 유도, 제1당 위치를 확고히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제도의 도입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거론되면서부터 "대통령의
통치스타일과 맞지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총재로 거명되고 있는 최형우 김윤환 이한동 이춘구 황인성 김덕룡의원과
서석재총무처장관등이 무리지어 움직이는 모습은 집단지도체제를 연상시키는
데다 "암투"로 인한 혼란도 예상할수 있다.
중진들의 의견이 제대로 조정되고 합리적으로 결론을 도출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백가쟁명" 양상이 빚어지면 김대통령의 스타일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때문에 급부상하고 있는 방안이 당의장제 신설과 수석부총재를 두는
것이다.
당의장제는 총재가 당의장을 통해 당을 관장하되 당의장은 자신과 부총재로
구성된 당무집행위를 거쳐 당무를 집행하는 체제.
반면 수석부총재는 말그대로 총재가 복수의 부총재중 한사람을 지명하는
것.
두 방안은 명칭만 다를뿐 당 운영방식은 대동소이하다.
당의장이나 수석부총재제의 경우 총재와 당의장 또는 수석부총재 사무총장
으로 이어지는 단일지도체제의 골간을 유지하자는 방안이다.
여기서 민주계와 민정계의 생각이 다르다.
우선 당의장이든 수석부총재직을 신설하든 자파가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당의장 또는 수석부총재자리에 누가 앉느냐는 차기구도와도 맞물려 있어
예단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당내에서는 김대통령이 범여권 끌어안기와 "이탈자" 최소화를 염두에
둔다면 김총장의 기용이 유력시되며 민주계 우선의 종래 인선방식을 고집할
경우 최의원이 발탁될 공산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특정 계파의 당의장 수석부총재임명은 당내 힘의 균형을 무너뜨려
자칫 분당으로까지 이어질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볼때 무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김대통령이 "솔직히 말해서 어떤 안에 대해 구체적 검토를 못하고 있다"고
언급한 점도 "저울질"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단적으로 반영해 주고 있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