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체감물가, '지수'와 큰 괴리 .. 안정에 주력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성식 < LG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한나라 경제의 안정성 여부를 손쉽게 알려주는 경제지표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물가지수다.
물가지수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상품의 생산이나 공급상의 애로.소비및
투자활동의 과열등 국민경제의 흐름에 어떤 이상이 발생했을때 재빨리
알려주는 신호역할을 해준다.
물가지수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물가지수는 보다 정확하게
작성돼야 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에 공감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정부에서 발표하고 있는 지수물가에 대해 국민들은 실제
물가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가 있다.
올들어 물가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체감물가와
지수물가의 차이는 여전히 큰 듯하다.
최근 재정경제원은 지난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발표한바 있다.
폭우의 영향으로 지난 8월말부터 채소류가격이 급등한 점을 고려할때 정부
의 발표를 보고 다소 의아해 하는 국민들이 많았을 것이다.
소위 체감물가와 지수물가의 괴리현상이다.
이같은 괴리현상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면이 없지 않다.
지수물가는 도시가계의 월평균 지출내용에 따라 조사 품목과 가중치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데 반해 체감물가는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주관적으로 느끼는 물가수준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주부들은 채소류등 일상생활에 필수적이고 구매빈도가 높은
농수산물 같은 생활필수품의 가격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학생이 많은 가정은 교육비 변화를 크게 느끼게 마련이다.
소비자들은 가격 인하품목은 고려하지 않고 가격이 오른 상품만을 쉽게
기억해 이들 품목의 가격 상승률을 단순평균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생활수준 향상, 가족수 증가, 상품의 품질향상등에 따라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물가상승에 의한 것으로 착각할수 있다.
물론 지수물가가 물가변화를 완벽하게 나타낼수는 없다.
소비패턴은 과거에 비해 하루가 다를 정도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으나 조사
품목과 가중치는 5년 단위로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지수물가가 가계의
지출비용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는데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문제는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크면 클수록 국민들은 정부통계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게 되고 정부의 경제정책 효과 또한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다는데 있다.
일반 국민들은 정부의 지수물가보다는 생활속에서 느끼는 체감물가가 실제
물가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체감물가는 그 파급효과가 빠르게 확산돼 실제 소비자들의 인플레
기대심리 형성과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책당국은 지수
물가의 안정에 안주하기 이전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의 안정에 각별히
힘을 쏟아야 한다.
실제로 추석을 전후해 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물론 최근의 물가불안이 폭우로 인한 농산물가격의 급등에 기인하고 있고,
이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정상수준으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번 농산물가격 인상이 몰고 올 후유증과 연쇄적인 파급효과가
우려된다.
채소류는 물론 벼 사과 배등 농산물의 작황피해가 커 이들 품목의 가격
상승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가뜩이나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리하는 공공요금이 잇따라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인상압력이 잠복해 있는 일부 개인 서비스요금이 이에
편승하리라는 것은 전례에 비추어 볼때 불을 보듯 뻔하다.
경기호황이 장기화되면서 인플레압력도 안심할수 만은 없는 수준이다.
계절적인 영향이 큰 농.축.수산물가격과 정책당국의 의지에 좌우되는
공공요금을 제외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 들어서는 지난 91년 이후의
대세 하향 안정세에서 벗어나 상승세로 돌아서 있다.
이같은 여러 여건을 감안할때 물가는 오히려 내년에 더 문제로 보인다.
정책당국은 우선 체감물가 안정에 힘써 물가불안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되 물가 인상압력을 어느정도 현실로 받아들이는 지혜도
필요하다.
현실을 무시하고 물가억제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이에 얽매인다면 긴축
정책이 불가피해지고 이에따라 경기의 연착륙에 실패하는등 다른 부문에
불필요한 주름살이 가도록 할 우려가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8일자).
한나라 경제의 안정성 여부를 손쉽게 알려주는 경제지표 가운데 하나가
바로 물가지수다.
물가지수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상품의 생산이나 공급상의 애로.소비및
투자활동의 과열등 국민경제의 흐름에 어떤 이상이 발생했을때 재빨리
알려주는 신호역할을 해준다.
물가지수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물가지수는 보다 정확하게
작성돼야 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에 공감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정부에서 발표하고 있는 지수물가에 대해 국민들은 실제
물가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가 있다.
올들어 물가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체감물가와
지수물가의 차이는 여전히 큰 듯하다.
최근 재정경제원은 지난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발표한바 있다.
폭우의 영향으로 지난 8월말부터 채소류가격이 급등한 점을 고려할때 정부
의 발표를 보고 다소 의아해 하는 국민들이 많았을 것이다.
소위 체감물가와 지수물가의 괴리현상이다.
이같은 괴리현상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면이 없지 않다.
지수물가는 도시가계의 월평균 지출내용에 따라 조사 품목과 가중치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되는데 반해 체감물가는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주관적으로 느끼는 물가수준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주부들은 채소류등 일상생활에 필수적이고 구매빈도가 높은
농수산물 같은 생활필수품의 가격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학생이 많은 가정은 교육비 변화를 크게 느끼게 마련이다.
소비자들은 가격 인하품목은 고려하지 않고 가격이 오른 상품만을 쉽게
기억해 이들 품목의 가격 상승률을 단순평균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생활수준 향상, 가족수 증가, 상품의 품질향상등에 따라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물가상승에 의한 것으로 착각할수 있다.
물론 지수물가가 물가변화를 완벽하게 나타낼수는 없다.
소비패턴은 과거에 비해 하루가 다를 정도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으나 조사
품목과 가중치는 5년 단위로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지수물가가 가계의
지출비용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는데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문제는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크면 클수록 국민들은 정부통계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게 되고 정부의 경제정책 효과 또한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다는데 있다.
일반 국민들은 정부의 지수물가보다는 생활속에서 느끼는 체감물가가 실제
물가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체감물가는 그 파급효과가 빠르게 확산돼 실제 소비자들의 인플레
기대심리 형성과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책당국은 지수
물가의 안정에 안주하기 이전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의 안정에 각별히
힘을 쏟아야 한다.
실제로 추석을 전후해 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물론 최근의 물가불안이 폭우로 인한 농산물가격의 급등에 기인하고 있고,
이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정상수준으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번 농산물가격 인상이 몰고 올 후유증과 연쇄적인 파급효과가
우려된다.
채소류는 물론 벼 사과 배등 농산물의 작황피해가 커 이들 품목의 가격
상승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가뜩이나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리하는 공공요금이 잇따라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인상압력이 잠복해 있는 일부 개인 서비스요금이 이에
편승하리라는 것은 전례에 비추어 볼때 불을 보듯 뻔하다.
경기호황이 장기화되면서 인플레압력도 안심할수 만은 없는 수준이다.
계절적인 영향이 큰 농.축.수산물가격과 정책당국의 의지에 좌우되는
공공요금을 제외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 들어서는 지난 91년 이후의
대세 하향 안정세에서 벗어나 상승세로 돌아서 있다.
이같은 여러 여건을 감안할때 물가는 오히려 내년에 더 문제로 보인다.
정책당국은 우선 체감물가 안정에 힘써 물가불안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되 물가 인상압력을 어느정도 현실로 받아들이는 지혜도
필요하다.
현실을 무시하고 물가억제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이에 얽매인다면 긴축
정책이 불가피해지고 이에따라 경기의 연착륙에 실패하는등 다른 부문에
불필요한 주름살이 가도록 할 우려가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