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후 떨어질것으로 예상됐던 채소류가 반입량이 줄어들면서 오히려
뛰어올라 주부들의 장바구니가 더욱 가벼워지고있다.

수산물은 추석연휴로 어로작업이 원활치못해 반입량이 격감한 가운데
콜레라확산에따른 소비감소로 한산한 거래를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내고있다.

특히 횟감용 활어류의 매기가 크게 위축,시세도 뚝 떨어졌다.

잡곡류는 햅쌀의 출하가 계속이어지면서 일반미시세가 다소 하락하는 약
세를나타내고있다.

<>.가락동농산물시장=채소류 반입량이 평소의 3분의 2정도인 5천5백여t이
반입되자 얼갈이 배추 상품이 한단에 3천원이 껑충 뛰어 1만원선의 높은시
세를 형성하고있고 배추도 상품이 포기당 1천원이 또 올라 7천원선의 강세
를 나타내고있다.

또 깻잎도 반입감소와 수요증가로 상품이 10장당 곱절이 뛴 2백원선에 판
매되고있고 상추도 상품이 4백g당 5백원이 또 올라 3천원선에 팔리고있다.

안정세를 보이던 건고추도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품이 6백g당 1천원이 올
라 8천원선의 강세를 보이고있고 양파도 상품이 kg당 1백원이 오른 3백50원
에 판매되고있다.

쪽파와 미나리도 상품이 한단에 1천원과 5백원이 올라 3천원씩에 피망도
상품이 4백g당 1천원이 오른 4천5백원의 높은시세를 나타내고있다.

또한 양상추도 상품이 kg당 1만5천원선의 강세를 지속하고있다.

과일류는 추석이후 산지출하작업이 부진한 가운데 매기도 위축,시세가 전
반적으로 보합권을 유지해 사과 아오리 상품이 개당 1천5백원선,배 장심랑이
3개 1만원선에 판매되고있다.

<>.노량진수산시장=반입량이 평소의 절반수준인 2만8천여상자가 반입
되었으나 콜레라 비상에따른 소비가 위축,거래가 극히부진해 생물 갈치
상품이 마리당 1만5천원선으로 낮은시세를 형성하고있다.

고등어도 냉동물 중품이 마리당 1천원선에 전갱이는 상품이 마리당 4천원
선에 각각 거래되고있다.

수요가 뚝 떨어진 활게는 상품이 kg당 3천원이 내린 1만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활어류는 자연산 적도미 상품이 kg당 1만5천원이 떨어진 3만5천원선을형성
하고있으나 그나마도 원매자가 거이 없어 한산한 시황을 보이고있다.

패류도 생합 상품이 kg당 2천원이 내려 1만원선을 형성하고있고 생굴도 상
품이 4백g당 1천원이 떨어져 5천원선에 거래되고있다.

<>.중앙곡물시장=경기미 상품이 20kg당 1천원이 떨어져 3만6천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호남미도 같은폭으로 내려 3만4천원선에 판매되고있다.

하루 서울지역에 6백여가마가 반입되고있는 햅쌀도 물량이 서서히 늘어나
면서 한말당 1만원이 떨어져 1만9천원선에 거래되고있다.

<조재현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