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정계개편이 이뤄질것이라는 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그동안 정가에서는 내년4월의 총선전이냐 후냐는 시기의 문제일 뿐이지
정계개편은 어떤 형태로든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던 것도 사
실이다.
비자금의혹이 새정치국민회의가 아닌 민주당에 의해 본격 제기됐을 때부터
이같은 설은 더욱 힘을 얻기 시작했다.
민자당의 민주계와 조금은 더 정서적으로 가깝다고 할 수 있는 민주당의
박계동의원이 국회에서 증거물까지 제시하면서 의혹을 제기했을 때 정가에
서는 여권핵심부와 모종의 "커넥션"이 있지 않았나 하는 추측이 일기도했다.
현재 정계개편설은 야당보다는 민자당에서 세를 얻어가고 있고 민자당내
에서는 민주계 소장인사들의 입이 그 진원지다.
특히 민주계소장파들은 민정계를 정리하고 민주당 일부의원과 정개련등과의
통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계개편설은 노전대통령의 비자금조성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서 더욱 증
폭되어가고 있는 양상이다.
민주계인사들은 노전대통령의 권력형 치부가 드러난 이상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여권개편의 불가피성을 내세우고있다.
3당합당으로 출범한 민자당의 태생적한계를 비자금파문을 계기로 극복하고
개혁세력만으로 새로운 집권세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민주계소장파들은 목소
리를 높이고 있다.
정계개편설은 여권이 강조하고 있는 세대교체와도 무관한 것 같지 않다.
민자당이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이기는 게임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구여권
세력과의 동거를 끝내고 참신하고 도덕성을 갖춘 야권인사들을 영입,새로
운 정치판을 짜야한다는게 민주계소장파들의 주장이다.
그렇게 한뒤에 게임에 지더라도 "지역정서" 때문이었다는 명분이라도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인것 같다.
이같이 여권개편의 불가피성이 비등하고는 있으나 민자당주도의 거대여당
이 탄생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우선 3당합당의 산물인 "민자당"이란 간판이 상당수의 유권자들에게 주는
이미지가 좋지 않다.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여당이란 프리미엄보다는 간판때문에 총선에 패배
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는 예상후보들이 많은한 여권으로의 "헤쳐모여"는
쉽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민자당 당명변경설이 나오는 것도 이같은 배경에서다.
또 야권 일부가 민자당과 합쳐지더라도 야권의 주요인사들이 민자당내에서
실권을 잡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할 경우 여권으로의 개편에 선선히 응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대통령이 대권을 잡기위해 3당합당에 참여했던 상황과 비슷한 "판"이라
고 판단하는 야권인사들이 없는한 더욱 그렇다.
어쨋든 여권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정계개편설은 지난 6.27선거에서 나타난
반민자당정서를 반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과 같은 민심이 지속되는한 내년 총선에서 과반수의석 확보가 어렵다
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정가에서는 내년1월 민자당이 전당대회를 열어 당명을 바꾸고 비정치권의
덕망가들과 민주당및 정개련과의 통합을 이룰 가능성이 높다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 정계개편은 여권개편에 그치지 않고 야권개편으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모든게 유동적인데다 예측키 어려운 변수들이 많아 섣
부른 전망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 김호영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