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F-16기가 첫선을 보였다.

7일 신고식을 한 KF-16기는 한국형 차세대 전투기를 국내에서 생산키로
한지 12년만에 나온 역작이다.

F-16기 출고의 가장 큰 의의로는 전투기등 각종 항공기의 국내생산체제가
완비됐다는 점이 먼저 꼽히고 있다.

KFP(한국형차세대전투기사업)가 끝나는 99년부터는 완제기를 자체 생산할
수 있어 본격적인 항공기 국내생산시대의 개막이 눈앞에 다가온 셈이다.

항공기술의 자립화를 촉진키 위해 시작한 KFP사업은 대상기종선정-직도입
-조립생산-면허생산등의 단계를 거쳐 추진돼왔다.

대상기종은 89년 맥도널 더글러스사의 F-18로 선정됐다가 1년반만에 제너
럴 다이내 믹(GD)사의 F-16으로 변경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후 GD가 군수사업부문을 록히드마틴사에 매각해버려 또한번 기술도입선
을바꿔야했다.

지난 86년 KFP사업의 주계약업체로 선정된 삼성항공은 92년부터 생산준비
에 들어갔다.

이후 사천공장이 완공된 지난해 6월부터 본격적인 조립생산이 시작됐다.

이때부터 주날개와 후방동체 수평꼬리날개등의 제작을 맡은 대한항공과
중앙동체와 전방동체일부를 생산한 대우중공업, 랜딩기아의 기아기공등 주요
협력업체 9개사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20만개에 달하는 F-16기 부품을 납품하거나 치공구등을 제작한 협력업체는
전부 1백개사에 이른다.

항공전자장비는 삼성전자와 대영전자등이 공급했다.

삼성항공등은 부품을 국내에서 제작하고 조립하며 비행성능시험까지 완료
하는 "면허생산"단계에 최근 돌입했다고 밝혔다.

때문에 7일 출고한 F-16기 5대는 국산전투기라고 불러도 무방하다는 설명
이다.

설계와 엔진제작 공정관리등 각 부문의 기술 국산화가 아직 40~50%대에
머물고 있지만 국내 기술자들이 생산관리기술을 체득하고 실제로 생산하고
있는 만큼 국산 전투기 생산시대가 이미 개막됐다는 주장이다.

박찬우삼성항공 KFP사업관리팀장은 "오는 99년이 되면 가격기준으로 본
국산화율은 40%,기술자립도면에서는 60%정도로 향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수치로 나타나는 국산화율보다 실질적인 기술수준을 끌어올리는
내실있는 발전이 더욱 중요하다는게 업계의 지적이다.

엔진생산기술만 보더라도 미국 P&W사등에 엔진을 납품해온 국내 항공업체
들의 제작기술은 거의 완벽한 수준이라고 평가받고 있지만
독자적인 엔진개발은 엄두도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의 기술을 그대로 도입하는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고유모델로 재설계
하는 기술이 전무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일본은 F-16기를 선정해 차세대전투기개발(FSX)사업을 추진하면서 자체모
델로 재설계하는데에만 35억달러를 투입했다"(김진웅삼성항공 생산팀장)지만
한국은 아직 멀었다는게 중평이다.

사업규모(투자)를 둘러싼 업계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KFP사업에도 52억달러라는 거액이 들어간다.

약4조원이나 된다.

99년까지 총1백20대의 F-16기가 생산되므로 개발비를 포함한 대당 가격은
3백30억원정도로 추산될 정도로 고가다.

때문에 제작을 맡은 삼성항공등은 KFP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후속사업의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독자적인 재설계를 할 수 있고 고유모델을 수출까지 할 수 있으려면 특히
군용기부문의 안정된 수요가 지속돼야한다는 분석이다.

가칭 항공산업기획단과 같은 정책기관을 만들어 항공기술개발등 거대 프로
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주장도 같은 맥락이다.

<심상민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11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