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합촬영소 건립계획을 처음 세울 당시 국내 영화계의 현안은
스튜디오의 확보였다.

미국의 영화직배공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화를 찍을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영화계의 중론이었다.

그러나 종합촬영소의 완공을 앞둔 현재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실내외 스튜디오및 소품 확보도 중요하지만 멀티미디어시대에 맞춰
컴퓨터그래픽등 첨단영상기법과 첨단기자재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가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특히 영화가 예술적 차원을 넘어 21세기 산업으로 발돋움하면서
이에 따른 각종 기반시설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가 서울종합촬영소를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가 바로 이런
맥락에서 중시된다.

문화체육부는 영상산업의 인프라구축이 국가정책적인 차원에서 적극
추진해야할 과제라고 보고 종합촬영소를 모든 영상소프트웨어를 소화하는
영상산업단지로 발전시킨다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 8월 세계화추진위원회에 보고한 서울종합촬영소 육성방안에
따르면 우선 1단계로 96년말까지 현재의 공사를 마무리, 스튜디오및
녹음편집시설 오픈세트 등을 완벽하게 갖추도록 한다고 밝히고 있다.

2단계는 97년부터 98년까지 영상자료관과 영상박물관을 만들고 각종
숙박시설, 편의시설 등을 구비해 영상을 중심으로한 복합문화공간을
만든다는 것이다.

여기에 영화인력 양성을 위한 영화연수원과 영화문화학교의 건립 등의
복안도 마련돼 있다.

또 99년을 기점으로 한 중장기계획에는 컴퓨터그래픽과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각종첨단기자재를 완비한 종합영상단지로의 도약안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게 되면 영화와 비디오 방송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새로운 영상매체로
대두되고 있는 멀티미디어영상물을 제작할수 있는 시설도 갖춰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촬영소의 부지는 40만평.

이가운데 스튜디오로 개발된 곳은 10만평가량이다.

한 관계자는 이곳은 앞으로 개발여지가 많기 때문에 다른 영상문화공간
으로의 활용도 충분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되려면 영상산업에 대한 정부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뒤따라야 하며 영상산업에 관한 부처이기주의도 사라져야할
것이라고 조심스레 강조하고 있다.

< 오춘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1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