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부터 노후생활 준비 "68%" .. 저축추진중앙위원회 설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퇴직후 노후생활을 편안히 하는데 들어가는 돈을 얼마일까.
또 언제부터 노후생활을 준비하고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해 1억6천만원의
목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를위해 "30대"부터 경제적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저축추진중앙위원회가 서울등 전국 11개 도시에 거주하는
1천명의 30세이상 가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노후생활에 관한 의식 및
준비실태분석"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6년전인 지난 89년의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노후준비를 더 일찍 시작하고
있으며 생계보다는 여유있는 생활을 위한 준비를 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인 내용을 부문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노후대비 준비시기=경제적인 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30대부터"가 68.6%로
가장 높고 "40대부터" 23.2%, "50대부터" 8.2%순이었다.
지난 89년의 조사때는 "40대부터"가 42.8%로 가장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노후준비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노후대비 준비방법=복수응답결과 "저축기관예치"가 94.5%로 가장 많았고
공적연금.퇴직금(29.3%) 부동산투자(25.5%) 주식투자(13.9%) 계.사채놀이
(13.4%)순이었다.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규모="1억원-2억원"이 38.2%, "3억원초과"가
15.2%, "8천만-1억원"이 13.7%순이었으며 평균금액은 1억6천1백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중 자녀의 교육과 결혼비용등에 들어가는 비용을 빼면 실제 노후생활에
필요한 목돈은 약 1억원정도로 전망됐다.
<>노후 월평균생활비=현재의 물가수준을 전제로 할때 한달 생활비(부부
기준)는 평균 91만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89년조사때는 40만원에 불과했었다.
이는 노후생활때의 주요 지출항목으로는 여행 취미생활등 문화교양비
(41.4%)가 주거비(34.3%) 식료품비(11.0%)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는등
소득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노후생활을 여유있게 보내려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후생활대비저축=65.2%가 노후생활을 대비해 저축하고 있다.
저축목표액은 "5천만원-1억원"이 34.0%로 가장 많았고 "2억원초과"가
18.4%, "1억5천만원-2억원"이 14.7%등이었다.
저축기관은 은행 생명보험회사 증권회사순이었다.
<>개인연금가입현황=조사대상의 39.8%가 가입했다.
미가입자중에서도 52.7%가 앞으로 개인연금에 가입하겠다고 밝혀 가입자수
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개인연금의 월불입액은 "10만원이하"가 35.2%, "10만원-20만원"이 33.4%,
"20만원초과"가 31.4%순으로 1인당 평균 월불입액은 약 21만원순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시작연령="56-65세"가 64.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나이는 61세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72.7%가 "정년퇴직 은퇴 또는 일할수 있는 능력이 없을때부터"
라고 응답, 노후생활의 시작시기를 사회 경제적활동의 가능여부와 연계해서
생각하고 있다.
<>노후 취업여부=절반이상인 58.3%가 "가능하다면 노후에도 계속 취업"
하기를 희망했다.
또 이중 80.3%가 건강이 허락할때까지 일하겠다고 밝혔다.
이유로는 경제적여유(25.4%) 개인능력활용(23.0%) 일하는 즐거움(25.0%)
등이 생계비조달(13.9%)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지난 89년 조사에서는 생계비조달(30.3%)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노후 부양책임="본인자신의 책임"이 95.3%를 차지해 자립의지를 강하게
나타냈다.
89년조사에서는 본인 자신의 책임이 24.7%에 불과했었다.
이는 그동안 핵가족제도가 심화되면서 노후의 자립의식이 일반화되고 있음
을 보여준다.
혼인한 자녀와 따로 살겠다는 응답자가 59.5%에 달하고 자녀들로부터
생활비보조를 받지 않겠다는 응답이 34.8%에 이르는 것도 이를 뒤바침해
준다.
<>노인복지정책의 과제=의료혜택확대(34.1%)가 노인복지시설의 확충
(24.4%) 노령인구 활용대책강구(17.2%)등보다 높아 노후생활의 애로상으로
건강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동인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9일자).
또 언제부터 노후생활을 준비하고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정된 노후생활을 위해 1억6천만원의
목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를위해 "30대"부터 경제적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저축추진중앙위원회가 서울등 전국 11개 도시에 거주하는
1천명의 30세이상 가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노후생활에 관한 의식 및
준비실태분석"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6년전인 지난 89년의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노후준비를 더 일찍 시작하고
있으며 생계보다는 여유있는 생활을 위한 준비를 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인 내용을 부문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노후대비 준비시기=경제적인 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30대부터"가 68.6%로
가장 높고 "40대부터" 23.2%, "50대부터" 8.2%순이었다.
지난 89년의 조사때는 "40대부터"가 42.8%로 가장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노후준비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노후대비 준비방법=복수응답결과 "저축기관예치"가 94.5%로 가장 많았고
공적연금.퇴직금(29.3%) 부동산투자(25.5%) 주식투자(13.9%) 계.사채놀이
(13.4%)순이었다.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규모="1억원-2억원"이 38.2%, "3억원초과"가
15.2%, "8천만-1억원"이 13.7%순이었으며 평균금액은 1억6천1백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중 자녀의 교육과 결혼비용등에 들어가는 비용을 빼면 실제 노후생활에
필요한 목돈은 약 1억원정도로 전망됐다.
<>노후 월평균생활비=현재의 물가수준을 전제로 할때 한달 생활비(부부
기준)는 평균 91만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89년조사때는 40만원에 불과했었다.
이는 노후생활때의 주요 지출항목으로는 여행 취미생활등 문화교양비
(41.4%)가 주거비(34.3%) 식료품비(11.0%)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는등
소득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노후생활을 여유있게 보내려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후생활대비저축=65.2%가 노후생활을 대비해 저축하고 있다.
저축목표액은 "5천만원-1억원"이 34.0%로 가장 많았고 "2억원초과"가
18.4%, "1억5천만원-2억원"이 14.7%등이었다.
저축기관은 은행 생명보험회사 증권회사순이었다.
<>개인연금가입현황=조사대상의 39.8%가 가입했다.
미가입자중에서도 52.7%가 앞으로 개인연금에 가입하겠다고 밝혀 가입자수
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개인연금의 월불입액은 "10만원이하"가 35.2%, "10만원-20만원"이 33.4%,
"20만원초과"가 31.4%순으로 1인당 평균 월불입액은 약 21만원순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시작연령="56-65세"가 64.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나이는 61세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72.7%가 "정년퇴직 은퇴 또는 일할수 있는 능력이 없을때부터"
라고 응답, 노후생활의 시작시기를 사회 경제적활동의 가능여부와 연계해서
생각하고 있다.
<>노후 취업여부=절반이상인 58.3%가 "가능하다면 노후에도 계속 취업"
하기를 희망했다.
또 이중 80.3%가 건강이 허락할때까지 일하겠다고 밝혔다.
이유로는 경제적여유(25.4%) 개인능력활용(23.0%) 일하는 즐거움(25.0%)
등이 생계비조달(13.9%)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지난 89년 조사에서는 생계비조달(30.3%)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노후 부양책임="본인자신의 책임"이 95.3%를 차지해 자립의지를 강하게
나타냈다.
89년조사에서는 본인 자신의 책임이 24.7%에 불과했었다.
이는 그동안 핵가족제도가 심화되면서 노후의 자립의식이 일반화되고 있음
을 보여준다.
혼인한 자녀와 따로 살겠다는 응답자가 59.5%에 달하고 자녀들로부터
생활비보조를 받지 않겠다는 응답이 34.8%에 이르는 것도 이를 뒤바침해
준다.
<>노인복지정책의 과제=의료혜택확대(34.1%)가 노인복지시설의 확충
(24.4%) 노령인구 활용대책강구(17.2%)등보다 높아 노후생활의 애로상으로
건강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동인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