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류가 본격적인 김장이 이루어지면서 판매가 활기를 띄고있으나
반입량 역시 크게 늘어나고있어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시세가 안정세를지속되고있다.

과일류는 김장에 밀려 매기가 위축,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품목이 보합세를 유지하고있다.

수산물은 육질이 좋은 상품이 반입된 고등어, 전갱이, 꽁치 등이 강세를
보였고 상품 반입이 감소한 갈치는 비교적 낮은 시세를 나타내고있다.

또 김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생새우, 생굴 등의 반입량이 크게 증가해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있다.

곡물류는 치솟는 쌀값을 안정시키기위해 정부보유곡의 방출이 시작되자
일반미 시세가 도매단계에서 다소 반락현상을 보이고있으나 산매시세는
여전히 강세권이 지속되고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

물량이 늘어난 배추가 지난주보다 상품이 포기당 5백원이 떨어져
1천5백원선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무도 상품이 개당 1천원선의
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김장 수요가 늘어나고있는 깐마늘도 공급사정이 원활해 상품이 kg당
3천5백원선의 보합세를 유지하고있고 대파와 쪽파도 상품이 한단에 7백원과
2천원선의 비교적 안정세가 지속되고있다.

그러나 알타리무는 상품이 한단에 7백원이 뛰어 2천7백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갓도 상품이 한단에 3백원이 올라 2천원선에 판매되고있다.

또 양채류가 수요증가로 양상추와 셀러리 상품이 kg당 1천원씩이
뛴 3천원과 2천5백원의 강세를 나타내고있다.

과일류는 신고배가 반입량 감소로 상품이 개당 1천원이 올라 5천원에
판매되고있을뿐 단감이 개당 1천2백원, 감귤 kg다 2천원선의 보합세가
지속되고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

상질품이 반입된 생물고등어가 마리당 3천원선의 높은시세 를 나타내고
있고 전갱이(아지)도 상품 입하로 마리당 5천원의 초강세를 보이고있다.

생물꽁치도 물량이 많지않아 마리당 7백원선의 높은시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수요가 늘어나 매기가 활기를 띠고있다.

한편 김장용 수요가 증가하고있는 생새우의 경우 상품이 kg당
1만-1만2천원선, 중품이 7천-8천원선에 거래되고있고 생굴도 자연산이
4백g당 6천원선, 양식이 4백g당 5천원선을 형성한 가운데 시황이 활기를
띠고있다.

젓갈류 또한 매기가 꾸준히 증가하고있으나 워낙 공급물량이 많은데다
상인들간에 판매경쟁이 치열해 새우젓 육젓 상품이 kg당 2만5천-3만원선의
보합세가 장기화되고있고 멸치젓도 상품이 kg당 2천원선으로 시세 변동없이
거래가 이루어지고있다.

<<< 중앙곡물시장 >>>

정부보유곡 방출로 농가의 출하기피현상이 해소되고있으나 아직까지
도매시세의 소폭하락으로 소매시세는 경기미 상품이 20kg당
4만-4만2천원선으로 높은시세가 지속되고있다.

잡곡류는 전반적으로 보합세가 지속되고있는 상태에서 참깨만이
공급물량 증가로 도매단계에서 소폭 내림세를 보이고있다.

<조재현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