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 정치] 총선전망 : 여야 "대회전" .. 각당 선거 전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실시될 "4.11"총선은 우리 정치사에 있어 또 하나의 큰 전환점으로
기록될것같다.
지난88년 13대 총선에 이어 "제2의 여소야대"정국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같은 전망은 물론 "여당약세 야당강세"라는 정치권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지만 지역분할구도에 기초하고있는 현재의 정치권 판도상 불가피한
추론이기도하다.
여든 야든 한 정당이 과반수의석을 차지하기가 어렵게끔 돼있는 현재의
구도자체가 "여소야대"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것이다.
문제는 총선결과가 97년의 대선향방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이다.
올 총선결과가 예상대로 여소야대로 귀결될경우 "정권재창출"이라는
여권의 기본전략은 근본적으로 흔들릴수밖에 없고 동시에 야권의 정권인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질것이 명약관화한 일이다.
또 여소야대로 인한 정치 역학상의 불균형은 필연적으로 여당과 야당,
야당과 야당간의 이합집산을 불러와 4당체제로 이뤄진 현재의 정치권
틀은 대대적인 개편의 소용돌이속으로 빠져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번 총선에서는 신한국당의 "제1당 수성" 또는 새정치
국민회의의 탈환여부, 민주당의 향방, 자민련의 대약진여부 등도
관심거리다.
이같은 전후사정을 고려할때 여야4당은 이번 총선에 정치적 명운을
걸고 건곤일척의 대회전에 나설수밖에 없는 입장이지만 각정당마다
고민도 적지않다.
신한국당은 이번 총선에서 "제1당 수성"에 온힘을 쏟고 있다.
당내 내분을 가까스로 수습하고 총선에 임하는 신한국당으로서는
제1당의 자리를 잃을경우 걷잡을수없는 총선후유증에 휘말려 자칫
"분당"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은것이 현실이다.
일부에서는 지난6.27지방선거의 재판이 될경우 전국구(총39석)의석의
배분을 감안해도 90석안팎에 그쳐 제2당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을 정도다.
신한국당은 모두 96석이 걸려있는 서울과 인천-경기 등 수도권을
최대의 승부처로 삼아 이를 집중 공략한다는 전략아래 대책마련에
고심하고있다.
국민회의는 이번 총선에서 제1당으로 부상한다는 "자신감"에 차있다.
중산층과 서민층을 집중적으로 파고들면 고정지지표를 묶어 지역구
의석수로만 1백석 이상을 얻을것으로 기대하고있다.
"안방"인 호남권에서는 막바지 세몰이를 통해 39석 모두를 휩쓰는
완승을 장담하고있고 지난 6.27선거의 여세를 몰아 서울에서 35~40석,
인천-경기에서 25~30석등 수도권에서 압승을 거두면 1백~1백10석을 거느린
제1당으로 올라설수 있다는 전략이다.
국민회의는 특히 수도권중에서도 서울보다는 인천-경기지역이 전체
총선을 가름하는 승부처가 될것이란 판단아래 인천과 경기를 합쳐 최소한
15석을 건지면 제1당이 되는데는 문제가 없을것으로 보고있다.
민주당은 개혁신당과의 통합을 통한 "바람"이 얼마나 일것이냐가 최대의
관건이다.
"3김시대 청산"을 통한 세대교체라는 명분면에서 주도권을 잡고있는
만큼 유권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있는 젊은층을 중점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인물난과 조직의 취약성 등으로 인해 수도권과 부산등 전략
지역을 중심으로 "간판급 인사"의 단기돌입을 통한 각개격파에 의존할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자민련은 6.27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에서도 "파란"을 일으킬 복병으로
꼽히고 있다.
"표밭"인 충청권에 이어 대구와 강원 동부지역에서도 세를 급격히
늘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국정운영경험을 가지고있다는 점으로해서
상대적으로 덕을 보고있는 측면도 있다.
이에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점차 세를 얻어가고있는 내각제를 기치로
수도권에서 의외의 선전을 할경우 50석이상에서 최대 65석안팎까지도
내다보는 "대약진"도 가능할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 문희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일자).
기록될것같다.
지난88년 13대 총선에 이어 "제2의 여소야대"정국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같은 전망은 물론 "여당약세 야당강세"라는 정치권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지만 지역분할구도에 기초하고있는 현재의 정치권 판도상 불가피한
추론이기도하다.
여든 야든 한 정당이 과반수의석을 차지하기가 어렵게끔 돼있는 현재의
구도자체가 "여소야대"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것이다.
문제는 총선결과가 97년의 대선향방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이다.
올 총선결과가 예상대로 여소야대로 귀결될경우 "정권재창출"이라는
여권의 기본전략은 근본적으로 흔들릴수밖에 없고 동시에 야권의 정권인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질것이 명약관화한 일이다.
또 여소야대로 인한 정치 역학상의 불균형은 필연적으로 여당과 야당,
야당과 야당간의 이합집산을 불러와 4당체제로 이뤄진 현재의 정치권
틀은 대대적인 개편의 소용돌이속으로 빠져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번 총선에서는 신한국당의 "제1당 수성" 또는 새정치
국민회의의 탈환여부, 민주당의 향방, 자민련의 대약진여부 등도
관심거리다.
이같은 전후사정을 고려할때 여야4당은 이번 총선에 정치적 명운을
걸고 건곤일척의 대회전에 나설수밖에 없는 입장이지만 각정당마다
고민도 적지않다.
신한국당은 이번 총선에서 "제1당 수성"에 온힘을 쏟고 있다.
당내 내분을 가까스로 수습하고 총선에 임하는 신한국당으로서는
제1당의 자리를 잃을경우 걷잡을수없는 총선후유증에 휘말려 자칫
"분당"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은것이 현실이다.
일부에서는 지난6.27지방선거의 재판이 될경우 전국구(총39석)의석의
배분을 감안해도 90석안팎에 그쳐 제2당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을 정도다.
신한국당은 모두 96석이 걸려있는 서울과 인천-경기 등 수도권을
최대의 승부처로 삼아 이를 집중 공략한다는 전략아래 대책마련에
고심하고있다.
국민회의는 이번 총선에서 제1당으로 부상한다는 "자신감"에 차있다.
중산층과 서민층을 집중적으로 파고들면 고정지지표를 묶어 지역구
의석수로만 1백석 이상을 얻을것으로 기대하고있다.
"안방"인 호남권에서는 막바지 세몰이를 통해 39석 모두를 휩쓰는
완승을 장담하고있고 지난 6.27선거의 여세를 몰아 서울에서 35~40석,
인천-경기에서 25~30석등 수도권에서 압승을 거두면 1백~1백10석을 거느린
제1당으로 올라설수 있다는 전략이다.
국민회의는 특히 수도권중에서도 서울보다는 인천-경기지역이 전체
총선을 가름하는 승부처가 될것이란 판단아래 인천과 경기를 합쳐 최소한
15석을 건지면 제1당이 되는데는 문제가 없을것으로 보고있다.
민주당은 개혁신당과의 통합을 통한 "바람"이 얼마나 일것이냐가 최대의
관건이다.
"3김시대 청산"을 통한 세대교체라는 명분면에서 주도권을 잡고있는
만큼 유권자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있는 젊은층을 중점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인물난과 조직의 취약성 등으로 인해 수도권과 부산등 전략
지역을 중심으로 "간판급 인사"의 단기돌입을 통한 각개격파에 의존할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자민련은 6.27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에서도 "파란"을 일으킬 복병으로
꼽히고 있다.
"표밭"인 충청권에 이어 대구와 강원 동부지역에서도 세를 급격히
늘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국정운영경험을 가지고있다는 점으로해서
상대적으로 덕을 보고있는 측면도 있다.
이에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점차 세를 얻어가고있는 내각제를 기치로
수도권에서 의외의 선전을 할경우 50석이상에서 최대 65석안팎까지도
내다보는 "대약진"도 가능할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 문희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