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독자광장] 적정수준 인구유지, 쾌적환경 조성 일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는 근대화과정을 거쳐 성공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중의 하나
이고 성공적인 가족계획 실천국가이다.
그동안 조세 및 의료보험 교육정책등을 통한 정부의 노력과 국민들의 협조
가 과도한 인구증가 현상을 슬기롭게 극복할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공식통계를 보면 다시 인구증가율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이 성인이 된 자연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남아선호로 인한 무리한 출산 및 정부의 느슨해진 정책 탓이 더 크다고 할
것이다.
대도시 출퇴근시간의 도로 지하철 휴일의 공원 극장가등에 가면 누구나
불편을 느끼고 불만을 토로하지만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바로 자기자신에게
있다는 것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현상은 부분적인 도시 과밀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인구증가가 초래하는 공해 환경오염 번잡함등이 우리의
실생활을 위협하고 있으며 인위적인 조정을 통한 남녀 성비의 불균형은
인간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의 삶은 계량할 수 없는 삶의 질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은 누구나 쾌적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이를 위해 자발적인 협조
의무가 있다.
우리 모두가 걱정하는 환경문제 역시 가장 손쉬운 해결책이 인구수의
조정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이재걸 < 경남 밀양시 가곡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9일자).
이고 성공적인 가족계획 실천국가이다.
그동안 조세 및 의료보험 교육정책등을 통한 정부의 노력과 국민들의 협조
가 과도한 인구증가 현상을 슬기롭게 극복할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공식통계를 보면 다시 인구증가율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이 성인이 된 자연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남아선호로 인한 무리한 출산 및 정부의 느슨해진 정책 탓이 더 크다고 할
것이다.
대도시 출퇴근시간의 도로 지하철 휴일의 공원 극장가등에 가면 누구나
불편을 느끼고 불만을 토로하지만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바로 자기자신에게
있다는 것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현상은 부분적인 도시 과밀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인구증가가 초래하는 공해 환경오염 번잡함등이 우리의
실생활을 위협하고 있으며 인위적인 조정을 통한 남녀 성비의 불균형은
인간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의 삶은 계량할 수 없는 삶의 질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은 누구나 쾌적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이를 위해 자발적인 협조
의무가 있다.
우리 모두가 걱정하는 환경문제 역시 가장 손쉬운 해결책이 인구수의
조정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이재걸 < 경남 밀양시 가곡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