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유화, NCC 증설] 경쟁적 투자촉발 가능성 .. 업계 시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석유화학이 NCC(나프타분해공장) 1기의 증설을 추진함에 따라
관련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현대의 NCC증설은 통산부가 "유화부문 투자지침"이라는 투자규제를
폐지한후 첫번째 시도되는 업계의 설비증설이어서다.
특히 NCC는 모든 유화제품의 기초원료로 설비규모가 유화업계의
판도를 좌지우지한다.
따라서 현대의 증설은 업계의 경쟁적인 투자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현대의 NCC증설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유화 설비투자는 명목상 자유화됐지만 보이지 않는 걸림돌도 많다.
무엇보다 업계의 자율조정여부다.
통산부는 지난해말 유화 투자규제를 전면 철폐하면서 앞으로 개별기업의
신.증설은 업계의 자율조정을 거쳐 추진토록 했다.
통산부는 이를위해 유화공업협회안에 대림산업 유공 LG화학 한화종합화학
등 국내 8개 NCC업체 대표로 구성된 "유화투자 민간자율조정협의회"를
두기로 했다.
이 협의회는 이달말께 열리는 산업정책심의회(위원장 재정경제원장관)의
의결을 통해 공식화될 계획이다.
현대의 NCC증설건도 이 조정협의회를 거쳐야 한다.
바로 이 조정협의회에서의 "조정여부"가 관심의 대상이다.
현대를 제외한 나머지 7개 업체가 대부분 현대의 NCC증설에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어서다.
현대의 증설로 업계순위가 바뀌고 경쟁이 심화될게 뻔한데 다른 업체들이
반기지 않는건 어쩌면 당연하다.
게다가 삼성종합화학 LG화학 한화종합화학등은 "만약 현대가 NCC를
증설하면 우리도 증설로 맞대응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현재 현대석유화학과 같은 규모의 설비를 갖추고 있는 업체들이다.
업계 순위경쟁에서 뒤지지 않겠다는 "자존심"이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의 NCC증설이 업계의 투자경쟁에 불을 댕기고 결과적으로 과잉설비
투자로 귀결될 것이란 우려도 여기서 나온다.
지난 80년대말 과잉투자경쟁으로 출혈을 경험했던 유화업계와 통산부는
당시의 "악몽"을 떠올릴 만한 대목이다.
통산부와 업계가 현대의 NCC증설에 긴장하고 있는 것도 사실은
이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의 증설이 과연 업계조정협의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얘기도 있다.
그러나 만약 업계조정협의회에서 현대의 NCC증설이 "불가"쪽으로
결론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진다.
업계 투자조정협의회가 과연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느냐는 논란이
일 수 있다.
법령이나 제도로 규정되지 않은 말 그대로 업계 자율기구가 개별기업의
투자를 막을 수 있느냐는게 쟁점이 될게 뻔하다.
이는 공정거래법상 업계의 "담합"으로도 해석될 수 있어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여기에 현대가 업계의 자율조정 결과에 순응하고 따를지는 또다른
변수다.
현대 관계자는 "아직 업계 투자자율조정위원회가 정식 구성되지 않은
만큼 이달말의 산정심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조정위원회의 결론을 따를지 여부에 대해선 "노코멘트"로 일관했다.
통산부는 작년말 발표한 "유화산업 장기비전및 발전전략"에서 오는
2000년까지 연산 40만t의 NCC가 2~3기 정도 더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통산부나 업계도 어떤 업체의 NCC증설을 무조건 반대만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누군가 NCC를 더 짓기는 지어야 한다는데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상태다.
유화업계의 "자율조정"이 국내 유화산업의 합리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 있을지 여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현대의 NCC증설은 그래서
더욱 관심을 끈다.
< 차병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3일자).
관련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현대의 NCC증설은 통산부가 "유화부문 투자지침"이라는 투자규제를
폐지한후 첫번째 시도되는 업계의 설비증설이어서다.
특히 NCC는 모든 유화제품의 기초원료로 설비규모가 유화업계의
판도를 좌지우지한다.
따라서 현대의 증설은 업계의 경쟁적인 투자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현대의 NCC증설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유화 설비투자는 명목상 자유화됐지만 보이지 않는 걸림돌도 많다.
무엇보다 업계의 자율조정여부다.
통산부는 지난해말 유화 투자규제를 전면 철폐하면서 앞으로 개별기업의
신.증설은 업계의 자율조정을 거쳐 추진토록 했다.
통산부는 이를위해 유화공업협회안에 대림산업 유공 LG화학 한화종합화학
등 국내 8개 NCC업체 대표로 구성된 "유화투자 민간자율조정협의회"를
두기로 했다.
이 협의회는 이달말께 열리는 산업정책심의회(위원장 재정경제원장관)의
의결을 통해 공식화될 계획이다.
현대의 NCC증설건도 이 조정협의회를 거쳐야 한다.
바로 이 조정협의회에서의 "조정여부"가 관심의 대상이다.
현대를 제외한 나머지 7개 업체가 대부분 현대의 NCC증설에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어서다.
현대의 증설로 업계순위가 바뀌고 경쟁이 심화될게 뻔한데 다른 업체들이
반기지 않는건 어쩌면 당연하다.
게다가 삼성종합화학 LG화학 한화종합화학등은 "만약 현대가 NCC를
증설하면 우리도 증설로 맞대응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현재 현대석유화학과 같은 규모의 설비를 갖추고 있는 업체들이다.
업계 순위경쟁에서 뒤지지 않겠다는 "자존심"이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의 NCC증설이 업계의 투자경쟁에 불을 댕기고 결과적으로 과잉설비
투자로 귀결될 것이란 우려도 여기서 나온다.
지난 80년대말 과잉투자경쟁으로 출혈을 경험했던 유화업계와 통산부는
당시의 "악몽"을 떠올릴 만한 대목이다.
통산부와 업계가 현대의 NCC증설에 긴장하고 있는 것도 사실은
이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의 증설이 과연 업계조정협의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얘기도 있다.
그러나 만약 업계조정협의회에서 현대의 NCC증설이 "불가"쪽으로
결론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진다.
업계 투자조정협의회가 과연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느냐는 논란이
일 수 있다.
법령이나 제도로 규정되지 않은 말 그대로 업계 자율기구가 개별기업의
투자를 막을 수 있느냐는게 쟁점이 될게 뻔하다.
이는 공정거래법상 업계의 "담합"으로도 해석될 수 있어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여기에 현대가 업계의 자율조정 결과에 순응하고 따를지는 또다른
변수다.
현대 관계자는 "아직 업계 투자자율조정위원회가 정식 구성되지 않은
만큼 이달말의 산정심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조정위원회의 결론을 따를지 여부에 대해선 "노코멘트"로 일관했다.
통산부는 작년말 발표한 "유화산업 장기비전및 발전전략"에서 오는
2000년까지 연산 40만t의 NCC가 2~3기 정도 더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통산부나 업계도 어떤 업체의 NCC증설을 무조건 반대만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누군가 NCC를 더 짓기는 지어야 한다는데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상태다.
유화업계의 "자율조정"이 국내 유화산업의 합리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 있을지 여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현대의 NCC증설은 그래서
더욱 관심을 끈다.
< 차병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