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통신 관계자는 국제 시외 시내등 사업별로 나눠진 현업부서
조직을 기능별로 재편키로 하고 현재 세부 개편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한국통신은 오는 20일까지 조직개편안을 확정, 정보통신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를 거쳐 이달말 이사회에서 의결, 시행할 계획이다.
전화사업조직은 현재 국제 시외 시내등 사업별로 나눠져 있으나 이를
통신망 관련업무를 전담하는 네트워크 관리운용조직과 영업조직 등 2개로
나눌 방침이다.
이경우 조직체계는 관리 영업 교환 전송 등으로 구성된 기존의 지방본부와
유사한 형태가 될 전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통합서비스가 가능하고 각 사업부별로 중복된
공통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 보급사업단 품질보증단 건설사업단등 지원조직은 대폭 통폐합해
구매본부 시설본부 등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러나 재무 인력등 본사의 관리조직의 테두리는 현상태를 유지하고
지방조직도 기존의 지역별 본부체제를 유지할 계획이다.
한국통신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관리급을 포함한 상위직을 10%이상
감축할 계획이다.
전화부문에서 생기는 잉여인력은 무선 데이터 해외사업 등 신규사업부문에
집중적으로 재배치할 계획이다.
한국통신은 이같은 조직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영자율성의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판단, 정보통신부 등 관계당국에 인력 임금 등의 총액한도
내에서 자율권부여와 해외자금 조달허용 등을 요청할 방침이다.
한국통신이 조직개혁에 나선 것은 정통부의 요청이란 외부적인 여건과
경쟁시대에 대비한 체질개선 필요성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한국통신을 주도적 사업자로 육성하겟기다는 방침을 세운 정통부가 그
전제로 내부적인 경영혁신을 요구하고 데이콤의 시외전화사업 참여 등으로
통신사업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내부체질을 경쟁체제에 맞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됐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통신의 이같은 조직개편구상은 조직관리와 경영효율에서는
유리하지만 사업부문간의 투명한 회계분리를 통한 공정경쟁여건 조성이라는
정보통신부의 통신서비스업 정책방향에는 다소 배치되는 것이어서 당국의
수용여부가 주목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