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독자광장] 원전건설 무조건 반대 능사 아니다..지수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0년대이후 20여년간 각종 공해를 가장 많이 배출해온 제조산업이 세계적
으로 무려 3배나 팽창하여 대기.수질등 환경이 크게 악화되었다.
이러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아무런 제동없이 지속될때 인류의 생존을
어렵게 한다고 인식함으로써 세계는 환경보호를 위한 그린라운드를 탄생
시켰다.
환경기준을 잘 지키는 나라의 제품에 비해 안 지키는 나라의 제품은 생산
원가가 낮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규제를 가하려 하는 것이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의 기초라 할 전력사업의 원가절감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전력수요가 연간 10~15%씩 늘어나 매년 약200만kW의 발전소
추가 건설이 불가피하다.
에너지자원의 90%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원자력발전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연료비 비중이 다른연료(LNG 석유 유연탄등)에 비해 낮고 기술자립에 따라
준국산에너지임과 동시에 대기오염 없는 깨끗한 에너지로서 그린라운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점 등이다.
그러나 "내가 사는 곳엔 안된다"라는 지역이기주의, 또는 무리한 보상요구
로 원전건설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제다.
무조건적 반대보다는 환경보호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해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갖추어야 나와 나의 가정, 우리지역 우리나라가 치열한 국제경쟁속
에서도 번영하게 될것 아닌가.
지수옥 < 경남 울산시 동구 서부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23일자).
으로 무려 3배나 팽창하여 대기.수질등 환경이 크게 악화되었다.
이러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아무런 제동없이 지속될때 인류의 생존을
어렵게 한다고 인식함으로써 세계는 환경보호를 위한 그린라운드를 탄생
시켰다.
환경기준을 잘 지키는 나라의 제품에 비해 안 지키는 나라의 제품은 생산
원가가 낮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규제를 가하려 하는 것이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의 기초라 할 전력사업의 원가절감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전력수요가 연간 10~15%씩 늘어나 매년 약200만kW의 발전소
추가 건설이 불가피하다.
에너지자원의 90%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원자력발전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연료비 비중이 다른연료(LNG 석유 유연탄등)에 비해 낮고 기술자립에 따라
준국산에너지임과 동시에 대기오염 없는 깨끗한 에너지로서 그린라운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점 등이다.
그러나 "내가 사는 곳엔 안된다"라는 지역이기주의, 또는 무리한 보상요구
로 원전건설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제다.
무조건적 반대보다는 환경보호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해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갖추어야 나와 나의 가정, 우리지역 우리나라가 치열한 국제경쟁속
에서도 번영하게 될것 아닌가.
지수옥 < 경남 울산시 동구 서부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