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장비] 98년 5조시장 .. 7개분야 30개사업자 "대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누가 더 큰 황금알을 낳을 것인가.
신규 통신사업자인가 통신장비 제조업체인가"
통신업계에 때아닌 황금알 크기 논쟁이 한창이다.
물론 통신사업자쪽이 장기적으로 훨씬 더 큰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기를 쓰며 통신사업에 너도나도 뛰어드는 배경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향후 3~4년이라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통신장비 제조업체들은
''유사이래 최대의 호황''을 누릴 전망이다.
정보통신부가 올해중 PCS(개인휴대통신)등 7개분애 30여개 사업자를 허가
함에 따라 이들의 장비수요물량은 98년까지 무려 5조원상당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한국통신을 비롯 한국이동통신 데이콤 신세기통신 등 기존 통신
사업자들도 한층 치열해지는 서비스경쟁과 대외시장개방 등에 대비,
대대적인 통신망 확충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통신장비시장의 호황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업계는 이에 따라 오는 2000년까지는 약 8조~10조원규모로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내놓고 이어 통신장비제조분야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것임에는 틀림없다.
이같은 예상에 따라 국내 통신장비제조업체들과 외국업체들이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제품개발에 나서는가 하면 신규통신사업 희망업체들과 관련
기술 장비공급을 위한 제휴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통신장비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으로 꼽히는 분야는 통신사업자
선정에도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일 PCS쪽이다.
한국통신을 비롯한 3개의 신규사업자가 선정될 이 분야사업에는 망구축에
필요한 교환기와 기지국 단말기등 1개사업자당 1조~1조5000억원규모의 설비
투자가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한국이동통신 신세기이동통신등 기존 통신사업자들도 주파수배정
에 따라 이 사업에 참여할 것이 거의 확실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등 기존의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디지털이동전화 시스템 개발업체와 대우통신 한화전자정보통신등 새로운
얼굴들이 대거 이 분야에 달려들 채비를 하고 있다.
게다가 미모토로라 AT&T사등 외국업체들도 이 시장공략을 위해 국내업체와
짝짓기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CS사업진출이 확정돼 있는 한국통신은 무선접속기술방식을 업밴드CDMA로
결정하고 장비공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복수로 선정, 경쟁개발을 유도하고
먼저 개발하는 업체의 장비를 우선 구매키로 했다.
TRS(주파수공용통신)분야도 상당한 시장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 사업은 전국사업자 1개를 비롯 9개의 지역사업자가 선정되고 최근 붐이
일고 있는 기업 자가망구축등으로 장비공급이 많은 분야로 꼽히고 있는 것.
TRS사업분야에는 이미 한국TRS(구 한국항만전화)에 장비를 공급중인
현대전자(미국 EF존슨사 제품) 독자적인 국산개발을 완료한 LG정보통신을
비롯 삼성전자가 에릭슨US사, LG전자가 모토로라사, 아남산업이 지오텍사
등과 각각 제휴해 장비공급전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3개의 전국사업자가 선정되는 무선데이터통신사업은 향후 3~4년간 3.000억
원대의 시장이 생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인 유니콘전자통신
한국컴퓨터 진우통신 에릭슨US사등이 독자 또는 외국사와 제휴형태로 관련
시스템공급을 서두르고 있다.
이와함께 CT-2(보행자전용 휴대전화)분야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 시장이
만만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분야 시장에는 삼우통신이 프랑스 다소사와 손잡고 진출하고 있는 것을
비롯 영국 오비텔사와 제휴한 제일정밀, 삼성전자등이 치열한 선점경쟁을
벌이고 있다.
CT-2는 한국통신이 서울 강남지역에서 펼치는 시범서비스확대에 이미
삼우통신이 200여억원대의 기지국장비를 공급키로 한 것을 비롯 서서히
시장이 달아오르로 있는 상황이다.
이들분야와 마찬가지로 무선호출 국제전화등에서도 추가적인 사업자가
선저오디는 까닭에 초기투자분으로 예상되는 국설교환기중계기등의 시스템
분야에서 장비공급이 상당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시장확대에도 불구하고 관련업계는 통신장비의 핵심기술을 외국사에
거의 의존하고 있어 ''재주는 국내장비회사가 부리고 황금알은 외국장비 제조
업체가 챙기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고 있다.
CDMA디지털 이동전화개발공급에서 퀄컴이라는 한 회사에 매달려 엄청난
기술료를 제공하면서도 핵심칩 공급차질등으로 단말기제조에서 불편을 겪고
있다는 교훈이 장비공급업계에 시급석이 되고 있는 것.
독자기술과 국내개발제품이 제품가격도 싸고 공급의 횡포에서도 벗어날
수있다는 중요한 의미를 던지는 사례이다.
아무튼 국내 통신장비시장이 급속한 팽창과 함께 업계자체의 지각변동도
몰고올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29일자).
신규 통신사업자인가 통신장비 제조업체인가"
통신업계에 때아닌 황금알 크기 논쟁이 한창이다.
물론 통신사업자쪽이 장기적으로 훨씬 더 큰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기를 쓰며 통신사업에 너도나도 뛰어드는 배경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향후 3~4년이라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통신장비 제조업체들은
''유사이래 최대의 호황''을 누릴 전망이다.
정보통신부가 올해중 PCS(개인휴대통신)등 7개분애 30여개 사업자를 허가
함에 따라 이들의 장비수요물량은 98년까지 무려 5조원상당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한국통신을 비롯 한국이동통신 데이콤 신세기통신 등 기존 통신
사업자들도 한층 치열해지는 서비스경쟁과 대외시장개방 등에 대비,
대대적인 통신망 확충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통신장비시장의 호황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업계는 이에 따라 오는 2000년까지는 약 8조~10조원규모로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내놓고 이어 통신장비제조분야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것임에는 틀림없다.
이같은 예상에 따라 국내 통신장비제조업체들과 외국업체들이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제품개발에 나서는가 하면 신규통신사업 희망업체들과 관련
기술 장비공급을 위한 제휴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통신장비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으로 꼽히는 분야는 통신사업자
선정에도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일 PCS쪽이다.
한국통신을 비롯한 3개의 신규사업자가 선정될 이 분야사업에는 망구축에
필요한 교환기와 기지국 단말기등 1개사업자당 1조~1조5000억원규모의 설비
투자가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한국이동통신 신세기이동통신등 기존 통신사업자들도 주파수배정
에 따라 이 사업에 참여할 것이 거의 확실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등 기존의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디지털이동전화 시스템 개발업체와 대우통신 한화전자정보통신등 새로운
얼굴들이 대거 이 분야에 달려들 채비를 하고 있다.
게다가 미모토로라 AT&T사등 외국업체들도 이 시장공략을 위해 국내업체와
짝짓기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CS사업진출이 확정돼 있는 한국통신은 무선접속기술방식을 업밴드CDMA로
결정하고 장비공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복수로 선정, 경쟁개발을 유도하고
먼저 개발하는 업체의 장비를 우선 구매키로 했다.
TRS(주파수공용통신)분야도 상당한 시장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 사업은 전국사업자 1개를 비롯 9개의 지역사업자가 선정되고 최근 붐이
일고 있는 기업 자가망구축등으로 장비공급이 많은 분야로 꼽히고 있는 것.
TRS사업분야에는 이미 한국TRS(구 한국항만전화)에 장비를 공급중인
현대전자(미국 EF존슨사 제품) 독자적인 국산개발을 완료한 LG정보통신을
비롯 삼성전자가 에릭슨US사, LG전자가 모토로라사, 아남산업이 지오텍사
등과 각각 제휴해 장비공급전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3개의 전국사업자가 선정되는 무선데이터통신사업은 향후 3~4년간 3.000억
원대의 시장이 생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인 유니콘전자통신
한국컴퓨터 진우통신 에릭슨US사등이 독자 또는 외국사와 제휴형태로 관련
시스템공급을 서두르고 있다.
이와함께 CT-2(보행자전용 휴대전화)분야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 시장이
만만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분야 시장에는 삼우통신이 프랑스 다소사와 손잡고 진출하고 있는 것을
비롯 영국 오비텔사와 제휴한 제일정밀, 삼성전자등이 치열한 선점경쟁을
벌이고 있다.
CT-2는 한국통신이 서울 강남지역에서 펼치는 시범서비스확대에 이미
삼우통신이 200여억원대의 기지국장비를 공급키로 한 것을 비롯 서서히
시장이 달아오르로 있는 상황이다.
이들분야와 마찬가지로 무선호출 국제전화등에서도 추가적인 사업자가
선저오디는 까닭에 초기투자분으로 예상되는 국설교환기중계기등의 시스템
분야에서 장비공급이 상당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시장확대에도 불구하고 관련업계는 통신장비의 핵심기술을 외국사에
거의 의존하고 있어 ''재주는 국내장비회사가 부리고 황금알은 외국장비 제조
업체가 챙기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하고 있다.
CDMA디지털 이동전화개발공급에서 퀄컴이라는 한 회사에 매달려 엄청난
기술료를 제공하면서도 핵심칩 공급차질등으로 단말기제조에서 불편을 겪고
있다는 교훈이 장비공급업계에 시급석이 되고 있는 것.
독자기술과 국내개발제품이 제품가격도 싸고 공급의 횡포에서도 벗어날
수있다는 중요한 의미를 던지는 사례이다.
아무튼 국내 통신장비시장이 급속한 팽창과 함께 업계자체의 지각변동도
몰고올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