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5번째 유엔해양법 협약 가입 .. 내달 28일부터 발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욕=박영배특파원]
주UN한국대표부는 29일(현지시간) UN해양법협약비준서를 UN사무총장에게
기탁, 우리나라가 85번째 협약당사국이 됐다고 30일 밝혔다.
UN해양법협약은 우리나라에 대해 비준서기탁후 한 달이 경과한 다음달
28일부터 발효된다.
정부는 앞으로 협약이행에 필요한 관련법령정비작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
이다.
정부는 또 협약발효와 함께 출범한 국제해저기구이사회(본부 자메이카
깅스턴)에 진출한다는 목표아래 박춘호고려대교수를 국제해양법재판소(설립
준비중) 판사후보로 지명, 당선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UN해양법협약은 지난 73~82년 개최된 제3차UN해양법회의에서 채택됐으며
<>영해폭 12해리확정 <>접속수역설정 <>2백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설정 <>심해저제도 창설 <>국제해저기구 및 국제해양법재판소설립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협약은 "60개국비준 1년후 발효" 요건에 따라 지난 94년 11월 16일 발효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31일자).
주UN한국대표부는 29일(현지시간) UN해양법협약비준서를 UN사무총장에게
기탁, 우리나라가 85번째 협약당사국이 됐다고 30일 밝혔다.
UN해양법협약은 우리나라에 대해 비준서기탁후 한 달이 경과한 다음달
28일부터 발효된다.
정부는 앞으로 협약이행에 필요한 관련법령정비작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
이다.
정부는 또 협약발효와 함께 출범한 국제해저기구이사회(본부 자메이카
깅스턴)에 진출한다는 목표아래 박춘호고려대교수를 국제해양법재판소(설립
준비중) 판사후보로 지명, 당선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UN해양법협약은 지난 73~82년 개최된 제3차UN해양법회의에서 채택됐으며
<>영해폭 12해리확정 <>접속수역설정 <>2백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
설정 <>심해저제도 창설 <>국제해저기구 및 국제해양법재판소설립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협약은 "60개국비준 1년후 발효" 요건에 따라 지난 94년 11월 16일 발효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