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업계는 정부가 밝힌 중소기업청 추진방안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기협중앙회는 중소기업청이 <>지방조직을 갖추고 <>신용보증기관의 정부
예산편성권을 가지며 <>산하에 중소기업금융지원협의회를 둘수 있도록한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라고 밝혔다.

기협의 한기윤 경제조사부장은 "지방조직은 지방중소기업과 영세기업의
의견수렴과 현장감있는 시책수립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또 신보와 기술신보등 신용보증기관의 예산편성권과 금융지원협의회를
두도록 한것은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려온 중소기업에 자금조달과 신용보증
기능을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소기업청이 통산부산하의 외청으로 설립돼 정부내에서 중소기업정책
을 총괄할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대통령 비서실내에 중소기업 특별보좌관을 신설,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몇몇 중소기업인들은 중소기업청의 역할과 기능을 더욱 확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자금난이나 인력난등 중소기업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권한여부
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남동공단소재 전기업체의 김모사장은 "중소기업의 최대애로인 자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담보력이 부족한 업체들에 대한 신용대출을 확대해야
하는 만큼 중소기업청이 금융기관에 대해 재정지원및 이차보전을 해줄 수
있는 충분한 예산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낙훈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