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건설 부도 파문은 결국 국제적인 문제로까지 비화하고 말았다.

이회사가 발행한 해외전환 사채의 보유자들(채권단)을 대리하고 있는
스위스 뱅크 코포레이션(SBC)은 최근 우성측에 공한을 보내 해외증권의
원금을 조기에 상환해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해 주목받고 있다.

SBC측에 따르면 계열사의 부도로 연쇄 부도가 우려되거나 수표 어음등의
미지급 사례가 발생할 경우 원금을 조기에 상환하도록 우성CB 발행계약서는
명기하고 있다.

생각지도 않던 해외 채권단이 구성되면서 우성부도 파문은 해외로까지
확산된 셈이다.

SBC관계자는 "우성건설이 다른 채권자에 우선해 해외투자자들에게 상환해야
할 의무는 물론 없다"면서도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고려해 선처가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지난 94년 발행된 우성 CB는 현재2천2백만달러 상당이 주식으로 전환되지
않고 채권형태로 남아 있다.

우성 건설은 이문제를 법정 관리인단으로 일단 넘긴다는 입장이지만 국내
채권단이 과연 소수의 해외 채권단에 대해 어떤 입장을 보일지는 아직은
미지수다.

또 이과정에서 정부가 어떤 대안을 제시할 지도 아직은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증권계는 그러나 우성부도 파문이 가뜩이나 악화된 해외증권 발행시장을
더욱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최근엔 코오롱이 DR(주식 예탁증서)을 발행하려던 당초의 계획을 CB
(전환사채) 급선회하는등 혼선을 보였고 삼성전관, 동아건설등 여타 기업들
도 우성 부도의 여진을 고스란히 껴안게 됐다.

결국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한국물(코리언 페이퍼)시장이 바이어즈마켓
(투자자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징조가 뚜렸한 순간에 우성부도 파문이
또하나의 장애물로 등장한 꼴이 됐다.

정부나 국내 채권단의 대응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