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금융] 평화은행 : 내년에 비디오 뱅킹 "첫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전자금융시대는 더이상 미래형이 아니다.
이제 현재형이다.
이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아직 초보적이긴 하지만 IC카드가 이미 선보였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현금자동지급기(CD)등 자동화기기와 무인점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PC뱅킹이나 폰뱅킹의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항상 변화를 선도하는 주도세력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금융시대를 미리 예견한 은행들의 선도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이런
변화가 가능했다.
IC카드를 독자 개발, 실용화단계에 들어선 동남은행(전자지갑)과
서울은행(토비카드) 주택은행(IC카드)이 그들이다.
1~2년사이에 무인점포를 200여개 늘린 신한은행도 빼놓을 수 없다.
지방은행이라는 열악한 환경을 딛고 폰뱅킹이라는 새로운 금융거래를
정착시킨 대구은행도 주인공이다.
폰뱅킹과 PC뱅킹을 단일화한 한미은행과 도비콤이란 독특한
통신에뮬레이터를 개발, PC뱅킹의 수준을 한차원 높인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이다.
아울러 미래의 은행인 가상은행( Virtual Banking )을 현실화하기위해
착실한 준비를 하고 있는 외환은행과 한일은행 장기신용은행도 국내의
금융산업을 앞장서 이끌고 있는 주역임에 틀림없다.
이런 은행들이 있기에 국내 금융산업의 미래는 밝다.
금융시장의 개방화가 가속돼 아무리 외국은행들이 몰려와도 국내은행들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칠수 있는 것도 이들 은행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은행은 올들어서도 전자금융팀을 별도로 설립하는등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국내에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고 금융거래방식을 송두리째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는 주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살펴본다.
< 편집자 >
***********************************************************************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에 경영의 무게중심을 두고있다.
조직상으론 정보기술부안에 전자금융 전담팀을 가동, 전자금융 전반에
대한 기획 개발 마케팅등을 실시하고 있다.
모토는 "통신수단이 있는 곳에 평화은행의 전자금융 서비스는 도달한다"
라는 고객제일주의.2000년대 초일류은행은 전자금융 분야에서 결판난다는
각오로 뛰고 있는 평화은행의 전자금융 진행상황판을 살펴보면 이렇다.
우선 평화PC뱅킹.
작년 8월부터 고객에게 무상보급하고 있는 도비콤(DOVYCOM)이란 통신
애뮬레이터를 연결하면 한 화면에서 이 은행 PC뱅킹서비스 및 일반
부가가치통신망 등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다.
더욱이 올상반기부터 홈뱅킹 개시와 함께 평화은행 고객이 되고자 하는
모든 예비고객에게도 영업창구는 물론 부가가치통신망 평화은행자체망
또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도비콤을 쓸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다른 은행은 물론 보험 증권 투자금융등 제2금융권까지도 자금이체가
자유자재인 그야말로 "안방금융"시대가 활짝 열렸다고 볼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선 평화PC뱅킹 시스템을 이용하면 관할 최소
행정단위나 아파트 단지단위까지 연계시켜 민의를 수렴하고 여러
공지사항을 빠르게전달할수 있다.
민원서류 발급신청도 물론이다.
다음은 텔레뱅킹.
평화은행은 올상반기중 기존의 텔레뱅킹 시스템과 비교해 훨씬 정확하고
편리한 버추얼 뱅킹( Virtual Banking ;가상은행)을 가미한 버추얼
텔레뱅킹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PC뱅킹에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전화기(휴대폰 팩스
호출기등 포함)를 통해서도 받게 된다.
내년에 선보이는 비디오뱅킹.
도심 곳곳에 설치된 무인점포에 들어가 비디오를 보면서 은행원과 실제
상황처럼 입.출금, 현금서비스, 자금이체외에 통장 신규개설 등
기본서비스는 물론 대출상담 및 각종 입장권 승차권 등의 예매까지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7일자).
전자금융시대는 더이상 미래형이 아니다.
이제 현재형이다.
이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아직 초보적이긴 하지만 IC카드가 이미 선보였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현금자동지급기(CD)등 자동화기기와 무인점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PC뱅킹이나 폰뱅킹의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항상 변화를 선도하는 주도세력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금융시대를 미리 예견한 은행들의 선도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이런
변화가 가능했다.
IC카드를 독자 개발, 실용화단계에 들어선 동남은행(전자지갑)과
서울은행(토비카드) 주택은행(IC카드)이 그들이다.
1~2년사이에 무인점포를 200여개 늘린 신한은행도 빼놓을 수 없다.
지방은행이라는 열악한 환경을 딛고 폰뱅킹이라는 새로운 금융거래를
정착시킨 대구은행도 주인공이다.
폰뱅킹과 PC뱅킹을 단일화한 한미은행과 도비콤이란 독특한
통신에뮬레이터를 개발, PC뱅킹의 수준을 한차원 높인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이다.
아울러 미래의 은행인 가상은행( Virtual Banking )을 현실화하기위해
착실한 준비를 하고 있는 외환은행과 한일은행 장기신용은행도 국내의
금융산업을 앞장서 이끌고 있는 주역임에 틀림없다.
이런 은행들이 있기에 국내 금융산업의 미래는 밝다.
금융시장의 개방화가 가속돼 아무리 외국은행들이 몰려와도 국내은행들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칠수 있는 것도 이들 은행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은행은 올들어서도 전자금융팀을 별도로 설립하는등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국내에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고 금융거래방식을 송두리째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는 주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살펴본다.
< 편집자 >
***********************************************************************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에 경영의 무게중심을 두고있다.
조직상으론 정보기술부안에 전자금융 전담팀을 가동, 전자금융 전반에
대한 기획 개발 마케팅등을 실시하고 있다.
모토는 "통신수단이 있는 곳에 평화은행의 전자금융 서비스는 도달한다"
라는 고객제일주의.2000년대 초일류은행은 전자금융 분야에서 결판난다는
각오로 뛰고 있는 평화은행의 전자금융 진행상황판을 살펴보면 이렇다.
우선 평화PC뱅킹.
작년 8월부터 고객에게 무상보급하고 있는 도비콤(DOVYCOM)이란 통신
애뮬레이터를 연결하면 한 화면에서 이 은행 PC뱅킹서비스 및 일반
부가가치통신망 등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다.
더욱이 올상반기부터 홈뱅킹 개시와 함께 평화은행 고객이 되고자 하는
모든 예비고객에게도 영업창구는 물론 부가가치통신망 평화은행자체망
또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도비콤을 쓸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다른 은행은 물론 보험 증권 투자금융등 제2금융권까지도 자금이체가
자유자재인 그야말로 "안방금융"시대가 활짝 열렸다고 볼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선 평화PC뱅킹 시스템을 이용하면 관할 최소
행정단위나 아파트 단지단위까지 연계시켜 민의를 수렴하고 여러
공지사항을 빠르게전달할수 있다.
민원서류 발급신청도 물론이다.
다음은 텔레뱅킹.
평화은행은 올상반기중 기존의 텔레뱅킹 시스템과 비교해 훨씬 정확하고
편리한 버추얼 뱅킹( Virtual Banking ;가상은행)을 가미한 버추얼
텔레뱅킹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PC뱅킹에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전화기(휴대폰 팩스
호출기등 포함)를 통해서도 받게 된다.
내년에 선보이는 비디오뱅킹.
도심 곳곳에 설치된 무인점포에 들어가 비디오를 보면서 은행원과 실제
상황처럼 입.출금, 현금서비스, 자금이체외에 통장 신규개설 등
기본서비스는 물론 대출상담 및 각종 입장권 승차권 등의 예매까지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