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금융] 광주은행 : IC카드 서비스영역 확대 "초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전자금융시대는 더이상 미래형이 아니다.
이제 현재형이다.
이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아직 초보적이긴 하지만 IC카드가 이미 선보였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현금자동지급기(CD)등 자동화기기와 무인점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PC뱅킹이나 폰뱅킹의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항상 변화를 선도하는 주도세력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금융시대를 미리 예견한 은행들의 선도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이런
변화가 가능했다.
IC카드를 독자 개발, 실용화단계에 들어선 동남은행(전자지갑)과
서울은행(토비카드) 주택은행(IC카드)이 그들이다.
1~2년사이에 무인점포를 200여개 늘린 신한은행도 빼놓을 수 없다.
지방은행이라는 열악한 환경을 딛고 폰뱅킹이라는 새로운 금융거래를
정착시킨 대구은행도 주인공이다.
폰뱅킹과 PC뱅킹을 단일화한 한미은행과 도비콤이란 독특한
통신에뮬레이터를 개발, PC뱅킹의 수준을 한차원 높인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이다.
아울러 미래의 은행인 가상은행( Virtual Banking )을 현실화하기위해
착실한 준비를 하고 있는 외환은행과 한일은행 장기신용은행도 국내의
금융산업을 앞장서 이끌고 있는 주역임에 틀림없다.
이런 은행들이 있기에 국내 금융산업의 미래는 밝다.
금융시장의 개방화가 가속돼 아무리 외국은행들이 몰려와도 국내은행들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칠수 있는 것도 이들 은행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은행은 올들어서도 전자금융팀을 별도로 설립하는등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국내에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고 금융거래방식을 송두리째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는 주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살펴본다.
< 편집자 >
***********************************************************************
광주은행은 현재 발행하고 있는 IC카드의 서비스종류및 업무제휴 영역을
대폭 확대하는 것에 "전자금융"의 초점을 두고 있다.
광주은행의 IC카드는 전자통장및 판매대금 자동결제(EFT/POS)서비스 등을
주로 제공하고 있다.
판매대금 자동결제 서비스의 경우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오프라인 거래로
결제전까지는 은행에 돈이 예치돼 있는 상태여서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은행측에선 고객의 예금이 은행밖으로 나가지 않은 상태이므로
예금수신고를 유지하는 장점을 안고 있다는게 광주은행의 설명이다.
IC카드는 현재 신용카드 학생증카드 백화점공용카드등으로 약5만여장이
발급된 상태다.
서점 호텔 병원 의류소매점 음식점 약국 백화점 학교매점등 광주시내
70여개 가맹점에서 IC카드의 직.선불기능을 이용한 물품구매가 이뤄지고
있다.
또 자체 VAN망인 KINS(광주은행 정보시스템)를 통해 가맹점 결제업무를
하고 있고 인감과 통장없이 IC카드로 CD나 ATM에서 입출금처리를 하고 있다.
광주 신세계백화점에서도 IC카드의 직.선불기능을 이용한 물품판매대전
결제가 가능하다.
이와함께 물품대전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한국정보통신의 VAN(부가가치
통신망)을 이용해 결제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광주은행은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우선 학생증카드와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신분증카드에 현금및 직불 선불카드 기능등을 부가, 제공서비스를
확충할 예정이다.
또 IC카드를 이용한 홈뱅킹 펌뱅킹의 서비스 확대를 위한 업무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영수광주은행장은 "앞으로 모든 은행계 카드는 IC카드 하나로 통합될
전망"이라며 "금융자율화 시대를 대비해 광주은행은 앞선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가올 은행간 종합결제 시스템운영에 있어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7일자).
전자금융시대는 더이상 미래형이 아니다.
이제 현재형이다.
이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보면 금방 알수 있다.
아직 초보적이긴 하지만 IC카드가 이미 선보였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현금자동지급기(CD)등 자동화기기와 무인점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PC뱅킹이나 폰뱅킹의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항상 변화를 선도하는 주도세력이 있게 마련이다.
전자금융시대를 미리 예견한 은행들의 선도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이런
변화가 가능했다.
IC카드를 독자 개발, 실용화단계에 들어선 동남은행(전자지갑)과
서울은행(토비카드) 주택은행(IC카드)이 그들이다.
1~2년사이에 무인점포를 200여개 늘린 신한은행도 빼놓을 수 없다.
지방은행이라는 열악한 환경을 딛고 폰뱅킹이라는 새로운 금융거래를
정착시킨 대구은행도 주인공이다.
폰뱅킹과 PC뱅킹을 단일화한 한미은행과 도비콤이란 독특한
통신에뮬레이터를 개발, PC뱅킹의 수준을 한차원 높인 평화은행도
전자금융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이다.
아울러 미래의 은행인 가상은행( Virtual Banking )을 현실화하기위해
착실한 준비를 하고 있는 외환은행과 한일은행 장기신용은행도 국내의
금융산업을 앞장서 이끌고 있는 주역임에 틀림없다.
이런 은행들이 있기에 국내 금융산업의 미래는 밝다.
금융시장의 개방화가 가속돼 아무리 외국은행들이 몰려와도 국내은행들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점칠수 있는 것도 이들 은행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은행은 올들어서도 전자금융팀을 별도로 설립하는등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국내에 전자금융시대를 앞당기고 금융거래방식을 송두리째 바꾼다는
야심찬 계획을 착착 진행하고 있는 주요 은행들의 준비상황을 살펴본다.
< 편집자 >
***********************************************************************
광주은행은 현재 발행하고 있는 IC카드의 서비스종류및 업무제휴 영역을
대폭 확대하는 것에 "전자금융"의 초점을 두고 있다.
광주은행의 IC카드는 전자통장및 판매대금 자동결제(EFT/POS)서비스 등을
주로 제공하고 있다.
판매대금 자동결제 서비스의 경우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오프라인 거래로
결제전까지는 은행에 돈이 예치돼 있는 상태여서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은행측에선 고객의 예금이 은행밖으로 나가지 않은 상태이므로
예금수신고를 유지하는 장점을 안고 있다는게 광주은행의 설명이다.
IC카드는 현재 신용카드 학생증카드 백화점공용카드등으로 약5만여장이
발급된 상태다.
서점 호텔 병원 의류소매점 음식점 약국 백화점 학교매점등 광주시내
70여개 가맹점에서 IC카드의 직.선불기능을 이용한 물품구매가 이뤄지고
있다.
또 자체 VAN망인 KINS(광주은행 정보시스템)를 통해 가맹점 결제업무를
하고 있고 인감과 통장없이 IC카드로 CD나 ATM에서 입출금처리를 하고 있다.
광주 신세계백화점에서도 IC카드의 직.선불기능을 이용한 물품판매대전
결제가 가능하다.
이와함께 물품대전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한국정보통신의 VAN(부가가치
통신망)을 이용해 결제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광주은행은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우선 학생증카드와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신분증카드에 현금및 직불 선불카드 기능등을 부가, 제공서비스를
확충할 예정이다.
또 IC카드를 이용한 홈뱅킹 펌뱅킹의 서비스 확대를 위한 업무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영수광주은행장은 "앞으로 모든 은행계 카드는 IC카드 하나로 통합될
전망"이라며 "금융자율화 시대를 대비해 광주은행은 앞선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가올 은행간 종합결제 시스템운영에 있어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