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육개혁은 지난 5.31개혁안에서 다루지못했던 직업교육을 일대
개혁하기위한 "신 직업교육체제의 구축"에 촛점이 맞추어졌다.

이와함께 교육과정을 학생중심으로 전환하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개혁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 그리고 이러한 모든 개혁을
최종적으로 제도화하고 정책화하기위한 교육관계법 체제 정비 등 4개
과제로 이루어졌다.

이번에 가장 주안점이 두어진 직업교육의 개혁은 수요자 중심의 열린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위해 평생직업교육체제를 마련하는 목표가
두어졌다.

모든 국민에게 소질과 적성에따라 원하는 직업교육을 받을 수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개개인이 보다 나은 직장,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이다.

국민 모두가 행복한 삶, 질 높은 삶을 영위할수 있는 직업능력을 가질때
비로서 국가경쟁력도 높아지게 된다는 판단때문이다.

직업교육개혁은 우리나라가 21세기 세계 중심의 일류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핵심전략 이라는 것이다.

이번에 발표된 교육개혁은 이같은 목표아래 직업교육의 핵심축을 기존의
고교에서 전문대 개방대 등 대학으로 옮기는 등 4가지 방향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실업계 고교를 졸업하고도 학교와 직장을 오가며 전문대 개방대
신대학 대학원까지 진학할수있도록 길을 열었다.

나아가 직장을 중심으로 학습을 계속하여 스스로 진로를 개척할수 있는
여건을 개선하기로했다.

또 학교와 학교, 학교와 산업체가 서로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위해 학교와 학교가 서로
경쟁하는 분위기를 만들기로했다.

기업체에게는 직업교육의 운영과 평가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학교와 산업체가 각기 보유한 인적 물적자원을 서로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비효율적인 교육을 효율적인 교육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를위해 자격증 제도를 개편하여 학습과 취업을 원활히 연계하고 교육과
훈련을 유기적으로 통합했다.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수 있도록 직업교육 첨단기술을
도입했고 직업교육이 안정적으로 발전할수 있도록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높이고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무성을 강화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