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레스타의 영롱한 소리에 맞춰 클라라 역의 발레리나 이유림(유니버설발레단 솔리스트·27)이 가볍게 스텝을 밟았다. 다른 무용수보다 보폭이 큰 덕분에 이어지는 동작이 더 아름답고 당당해 보였다. 매년 선보인 ‘호두까기 인형’이 새롭게 다가온 데는 이유림의 영향이 컸다.수없이 이뤄낸 디테일의 변화가 공연 전체에 큰 차이를 만들어냈다. 호두까기 왕자 역의 임선우(드미 솔리스트·25)도 부상을 딛고 훨훨 날았다.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에서 1세대 빌리로 이름을 알렸던 소년은 어느새 관객의 기대를 한 몸에 받는 발레리노로 성장한 모습이었다.호두까기 인형은 표트르 차이콥스키가 작곡하고 러시아 마린스키 극장의 발레마스터였던 마리우스 프티파가 안무와 대본을 담당했으며 프티파의 건강이 악화된 뒤 제2 발레마스터였던 레프 이바노프가 안무를 완성한 작품이다. 초연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으나, 오늘날 매년 연말이면 세계에서 공연되는 스테디셀러가 됐다.그래서인지 아이러니하게도 발레 공연을 많이 접한 사람이라면 호두까기 인형으로 감동을 크게 받기란 쉽지 않다. 매년 똑같은 음악과 똑같은 춤, 드라마 요소가 적은 플롯 때문인지 저평가받는 작품이기도 하다. 선입견과 달리, 지난 21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된 유니버설발레단의 호두까기 인형은 이유림과 임선우라는 발레단 기대주들의 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귀한 자리였다. 예전부터 두 사람은 춤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파트너로 서는 모습을 기대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서울 무대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날, 마침 눈이 내렸다. 무대 위 두 사람은 동화 속 인물들처럼
예술과 기술은 끊임없이 서로를 탐해왔고 이들이 제대로 만나면 거대한 시장이 생겨났다. ‘아트코리아랩’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 빚어내는 폭발력을 연구하는 실험실이자 지원센터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지난해부터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트코리아랩은 예술가와 기업의 협업을 돕는다. 단순한 중개 역할에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AI)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해 작품을 만들고 유통하고 투자를 받는 전 과정을 살펴준다.지난 9일 서울 중학동 아트코리아랩에서는 아모레퍼시픽재단, 교보문고 등 7개 선도 기업 관계자들이 함께 모였다. 예술과 기술의 융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일구는 ‘아트코리아랩 기술융합 오픈이노베이션’ 성과를 짚어보는 행사였다. 참석자들은 올해 성과에 대해 호평을 내놨다. “예술가들이 새로운 사업적 인사이트를 창출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많았다.올해 오픈이노베이션에선 미디어아트, 디자인, 사운드 등 미술과 음악을 넘나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과 지식재산권(IP) 비즈니스를 결합한 사업 아이디어가 돋보였다.아티스트 그룹 ‘프로젝트 팀 펄’과 호텔롯데 롯데월드 부문이 손잡고 지난해 베트남 하노이에 문을 연 롯데 아쿠아리움 하노이에서 선보인 ‘까옹의 바다(Sea of Ca Ong)’가 대표적이다. 현지 전설인 고래신 까옹의 이야기를 증강현실(AR) 도슨트로 구현했다. 동양화가부터 생명과학 전공까지 다양한 출신의 융합예술가가 모인 프로젝트 팀 펄이 3차원(3D) 모델링,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만든 AR 전시솔루션을 통한 인터랙티브 전시로 관람 몰입도를 높였다. 정혜주 프로젝트 팀 펄
서른 살이 돼가는데 이룬 게 하나도 없다. 남들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나만 제자리다. 여태껏 무얼 하고 살아온 걸까.뮤지컬 ‘틱틱붐’은 이런 고민에 초조해하는 한 젊은이의 이야기다. 뮤지컬 ‘렌트’를 만든 천재 작곡가 조너선 라슨의 자전적 작품. 주인공 존은 몇 년째 브로드웨이 무대에 자신의 작품을 올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작곡가 지망생이다. 낮에는 생계를 위해 카페에서 아르바이트하고 밤에는 곡을 쓴다. 그러는 사이 가장 친한 친구는 성공한 사업가가 됐고, 여자친구는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를 조언한다. 서른 번째 생일을 앞둔 존의 머릿속에서는 시계 초침 소리가 째깍째깍 울린다. 틱…틱…틱.작품 내내 존은 꿈과 현실 사이에서 고통스러워한다. 어떤 대단한 사건이나 극적인 문제 해결이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이 역경을 이겨내고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곡가라는 꿈을 마침내 이룬다는 동화적인 해피엔딩도 없다.그럼에도 작품은 희망을 심어준다. 어떻게든 기적적으로 문제가 해결될 거라는 막연한 약속을 하지 않는다. 대신 두려움을 마주하고 꿈을 향해 묵묵히 나아가는 사람들과 공감하고, 그 과정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행복을 잊지 말자는 담담하지만 따뜻한 메시지가 담겼다.이 작품의 힘은 라슨의 음악적 센스에서 나온다. 소박한 이야기에 노래와 대사가 물 흐르듯 이어져 리듬을 더해준다. 감정 변화와 서사가 농축된 가사가 등장인물이 느끼는 감정을 진하게 객석에 전한다. 곡의 구성에서 라슨의 천재적 작곡 능력이 보인다. 록 음악이 큰 줄기를 이루지만 감미로운 멜로디의 발라드와 재즈까지 많은 장르가 어우러져 다채롭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