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는 단기적으로 변동을 거듭해가는 가운데 장기적인 방향을 찾아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때로는 변동량이 부각되기도, 또 어느 때는 방향성이 중시되기도
한다.

그런데 요즘 증시주변 논리를 보면 주로 주가의 장기방향보다는 주가의
단기변동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정부가 4월부터 외국인 한도를 추가로 확대키로함으로 단기변동의 기대를
자극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니 전체 주가의 수준을 놓고 보면 얘기는 달라질수 있다.

우선 지금 주가지수는 지난 93년 하반기 수준을 겨우 유지하고 있고 최근
2~3년간의 추세에서 보면 기술적으로 벼랑끝에 몰린 형국이다.

현정부 출범한 이후 초반에 밀어붙인 신경에 100일 계획이 순조로운 성과를
보임으로써 그 여세로 급등했던 당시 주가를 위협하기 일보직전이다.

그래서 이 시점에서 외국인 한도가 확대됐을 수도 있다고 본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쯤되면 당연히 경기논쟁이 등장해야 한다고 본다.

현재 기대하고 있는 경기연착륙이 빗나가면 정부가 내수경기를 진작시킬
것인지 아니면 대기업의 설비투자를 통한 구조조정을 해나갈 것인지 또는
물가관리에 매달릴 것인지 지금쯤은 정부 입장을 분석가들은 예측해야 한다.

물론 여기서 외국인 한도를 추가로 확대한 것은 구조조정의 지속에 대한
뜻을 어느정도 담은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최근에 어떤 대기업은 사내 유보이익을 주주에게 무상증자로 돌려주면서
까지 기업 성장에 강한 의욕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환경들이 엇갈리는 가운데 바로 얼마되지않는 장내 자금은 전체장세를
우량주와 대중주 그리고 소외주로 갈라놓으면서 갈등으로 몰아놓고 있다.

정부는 이쯤에서 외국인 한도라는 카드를 던져 증시가 당분간 경기에
부담을 주지않고 자체적으로 큰 문제없이 굴러가길 희망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그러나 본질적인 경기문제를 대응할 수는 없다고 본다.

2월말과 3월초 주가흐름에 따라 경기논쟁은 다시 제기될수 있다고 본다.

< 아태경제연구소장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