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대비 스윙체크] (11) '볼위치 점검' .. 티높이도 높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볼을 둘러싼 기본을 몇가지 점검해 보자.
첫째는 드라이버샷 어드레스때의 볼 위치이다.
이때 볼이 위치는 "왼발 뒤꿈치 선상"이라는 게 정설이다.
그렇게 놓아야 클럽헤드가 최하점을 지나 올라가면서 볼과 접촉하는
"업 스윙" 구질을 만들수 있다는 것.
그러나 "조급한 스윙"이 대부분인 아마추어의 입장에서는 이같은
이론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스윙아크가 큰 골퍼들은 볼을 왼발선상에 놓아도 궤도자체가 크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책에서 말하는 이론이나 교습가들의 가르침대로 스윙아크가 크면
왼발선상의 볼까지 클럽헤드가 "쭉"나갈수 있지만 아크가 작으면 볼에
이르기 전에 클럽헤드가 안쪽으로 꺽여져 들어올 가능성이 많다.
타깃쪽으로 헤드가 나가며 업스윙이 되는게 아니라 "작은 아크"로
인해 헤드가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며 비껴맞는 샷이 되는 것이다.
더 큰 문제점은 손목코킹유지에 있다.
톱스윙의 손목코킹은 최대한 늦게까지 유지해야 하는데 볼이 "저 멀리"
왼발선상에 있으면 볼까지 다가가는데 "시간이 걸리며" 코킹이 풀린채
임팩트가 될 확률이 높은 것.
어쩌면 갈 길이 멀다는데 기인, 톱에서부터 내려치는 스윙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스윙리듬이 좋은데도 미스샷이 자주 나는 골퍼들은 일단
볼 위치를 점검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즉 드라이버샷때의 볼 위치를 왼발선상에서 10-15cm 가량 오른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같은 볼 위치는 손목 릴리즈여부에 대한 우려를 줄이면서 한층
자연스런 스윙을 만들수 있다.
볼을 치고 난 후에도 기존 왼발선상의 볼위치까지 클럽헤드가 "쭉"
전진하면 파워도 붙고 구질도 더 스트레이트가 될 수 있다.
이같은 요인에 근거,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세계적프로중에서도
볼위치가 약간 왼발 안쪽인 골퍼가 많다.
닉 프라이스, 페인 스튜어트 등도 드라이버샷 볼위치가 왼발선상안쪽
10-15cm이고 그밖에 어니 엘스, 비제이 싱, 데이비스 러브3세, 커티스
스트레인지 등도 같다.
그러나 스탠스 가운데쪽으로 옮기는 것은 15cm 정도가 한계로 지나치게
안쪽에 볼을 위치시키면 다운스윙 각도가 너무 급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드라이버샷을 할때는 티의 높이도 중요하다.
특히 요즘에는 티타늄의 등장으로 인해 헤드크기가 과거보다 60% 이상
더 켜졌다.
헤드가 커지면 그만큼 티를 높이 꽂고 올려치는 스윙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
티를 높이 꽂아도 헤드페이스가 무척 넓어졌기 때문에 미스샷 확률이
그만큼 줄었기 때문이다.
오버사이즈 헤드의 티타늄 드라이버를 쓰는 골퍼라면 티의 높이를
점검, 약간 더 높이며 업스윙궤도를 익히는 것도 "거리를 늘리는 방안"중
하나가 된다.
물론 티를 높이면 볼 밑부분을 치게 되는 골퍼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다운스윙중에 볼이 맞거나 하는" 스윙상의 원천적 잘못으로 봐야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6일자).
첫째는 드라이버샷 어드레스때의 볼 위치이다.
이때 볼이 위치는 "왼발 뒤꿈치 선상"이라는 게 정설이다.
그렇게 놓아야 클럽헤드가 최하점을 지나 올라가면서 볼과 접촉하는
"업 스윙" 구질을 만들수 있다는 것.
그러나 "조급한 스윙"이 대부분인 아마추어의 입장에서는 이같은
이론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스윙아크가 큰 골퍼들은 볼을 왼발선상에 놓아도 궤도자체가 크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책에서 말하는 이론이나 교습가들의 가르침대로 스윙아크가 크면
왼발선상의 볼까지 클럽헤드가 "쭉"나갈수 있지만 아크가 작으면 볼에
이르기 전에 클럽헤드가 안쪽으로 꺽여져 들어올 가능성이 많다.
타깃쪽으로 헤드가 나가며 업스윙이 되는게 아니라 "작은 아크"로
인해 헤드가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며 비껴맞는 샷이 되는 것이다.
더 큰 문제점은 손목코킹유지에 있다.
톱스윙의 손목코킹은 최대한 늦게까지 유지해야 하는데 볼이 "저 멀리"
왼발선상에 있으면 볼까지 다가가는데 "시간이 걸리며" 코킹이 풀린채
임팩트가 될 확률이 높은 것.
어쩌면 갈 길이 멀다는데 기인, 톱에서부터 내려치는 스윙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스윙리듬이 좋은데도 미스샷이 자주 나는 골퍼들은 일단
볼 위치를 점검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즉 드라이버샷때의 볼 위치를 왼발선상에서 10-15cm 가량 오른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같은 볼 위치는 손목 릴리즈여부에 대한 우려를 줄이면서 한층
자연스런 스윙을 만들수 있다.
볼을 치고 난 후에도 기존 왼발선상의 볼위치까지 클럽헤드가 "쭉"
전진하면 파워도 붙고 구질도 더 스트레이트가 될 수 있다.
이같은 요인에 근거,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세계적프로중에서도
볼위치가 약간 왼발 안쪽인 골퍼가 많다.
닉 프라이스, 페인 스튜어트 등도 드라이버샷 볼위치가 왼발선상안쪽
10-15cm이고 그밖에 어니 엘스, 비제이 싱, 데이비스 러브3세, 커티스
스트레인지 등도 같다.
그러나 스탠스 가운데쪽으로 옮기는 것은 15cm 정도가 한계로 지나치게
안쪽에 볼을 위치시키면 다운스윙 각도가 너무 급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드라이버샷을 할때는 티의 높이도 중요하다.
특히 요즘에는 티타늄의 등장으로 인해 헤드크기가 과거보다 60% 이상
더 켜졌다.
헤드가 커지면 그만큼 티를 높이 꽂고 올려치는 스윙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
티를 높이 꽂아도 헤드페이스가 무척 넓어졌기 때문에 미스샷 확률이
그만큼 줄었기 때문이다.
오버사이즈 헤드의 티타늄 드라이버를 쓰는 골퍼라면 티의 높이를
점검, 약간 더 높이며 업스윙궤도를 익히는 것도 "거리를 늘리는 방안"중
하나가 된다.
물론 티를 높이면 볼 밑부분을 치게 되는 골퍼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다운스윙중에 볼이 맞거나 하는" 스윙상의 원천적 잘못으로 봐야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