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신도시 확대 건설] 중부권 개발/인구분산..배경/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천안신도시개발계획은 천안을 아산만권광역개발계획과 연계, 이
지역을 중부권 거점도시이자 국토의 중핵지역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최적의 주거기능과 자족기능을 완비한 미래형도시를 조성함으로써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는 수도권인구의 대규모 분산효과도 겨냥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천안신도시개발규모는 당초구상보다 훨씬 커졌다.
건설교통부는 처음 천안신도시를 수용인구 25만 규모의 아산만권 배후
신시가지로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2001년 예정인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을 감안할 경우 이 지역이
수도권 인구를 분산유치할 수있는 최적지로 꼽혀 계획을 확대변경한 것으로
풀이된다.
건교부 고위관계자도 "구체적인 신도시개발 기본계획은 오는 8월 국토개발
연구원의 연구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되겠지만 개발규모의 대폭 확대는
확실하다"고 밝히고 있다.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서울에서 천안까지는 불과 25분거리이다.
정부로서는 천안신도시개발을 통해 경부고속철도의 수요창출과 더불어
수도권 인구분산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무리없이 잡게 된다.
여기에다 2011년까지로 돼있는 아산만권광역개발계획을 고려할 경우 천안
신도시를 전원형 자족도시로 건설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권은 계획대로 개발이 추진될 경우 서해안의 거대한 공업.물류단지로
자리잡게 된다.
천안신도시가 이 지역과 묶여져 함께 본격적인 개발궤도를 타게 되면
미래의 중부권 거점지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건교부로서는 지난해 초안을 마련한 수도권정비계획이 인구분산의 한계를
안고 있는데다 여론의 반발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에서 천안신도시개발을
최선의 대안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이같은 건교부의 판단에는 미국및 일본의 전문가들이 자문과정에서 규모
확대를 건의한 것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난해 8월 발주한 용역과정에서 미국 예일대및 하버드대
교수인 이들 전문가들이 "2011년까지로 돼있는 아산만권광역개발계획과
경부고속철도및 서해안고속도로등의 개통등 종합적인 입지여건을 고려할때
천안신도시의 개발규모를 확대,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건교부는 천안신도시개발과 관련, 그동안의 분당 일산등과 같은
신도시와는 다른 개념을 적용할 계획이다.
규모가 기존 신도시보다 훨씬 방대할뿐아니라 복합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미래의 표본적인 이상도시로 개발하는데
최우선적인 비중을 둘 생각이다.
도시규모도 50년이후를 내다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점차 확대해
나감으로써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개발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천안신도시는 1차조성이 마무리되는 2000년대초에는 인구 30만
내외의 신도시로 시작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도권기능을 대체할 중부권
최대 거점도시로 개발될 전망이다.
건교부는 경부고속철도가 본격 운행되고 서해안고속도로, 아산-삼척
고속도로, 대산-대전고속도로등이 완공되면 이 지역이 교통.물류의 거점
지역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아산만권 개발계획이 완료되면 공업, 물류, 교통, 주거시설등이
어울려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 김상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4일자).
지역을 중부권 거점도시이자 국토의 중핵지역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최적의 주거기능과 자족기능을 완비한 미래형도시를 조성함으로써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는 수도권인구의 대규모 분산효과도 겨냥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천안신도시개발규모는 당초구상보다 훨씬 커졌다.
건설교통부는 처음 천안신도시를 수용인구 25만 규모의 아산만권 배후
신시가지로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2001년 예정인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을 감안할 경우 이 지역이
수도권 인구를 분산유치할 수있는 최적지로 꼽혀 계획을 확대변경한 것으로
풀이된다.
건교부 고위관계자도 "구체적인 신도시개발 기본계획은 오는 8월 국토개발
연구원의 연구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되겠지만 개발규모의 대폭 확대는
확실하다"고 밝히고 있다.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서울에서 천안까지는 불과 25분거리이다.
정부로서는 천안신도시개발을 통해 경부고속철도의 수요창출과 더불어
수도권 인구분산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무리없이 잡게 된다.
여기에다 2011년까지로 돼있는 아산만권광역개발계획을 고려할 경우 천안
신도시를 전원형 자족도시로 건설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권은 계획대로 개발이 추진될 경우 서해안의 거대한 공업.물류단지로
자리잡게 된다.
천안신도시가 이 지역과 묶여져 함께 본격적인 개발궤도를 타게 되면
미래의 중부권 거점지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건교부로서는 지난해 초안을 마련한 수도권정비계획이 인구분산의 한계를
안고 있는데다 여론의 반발 또한 만만치 않은 실정에서 천안신도시개발을
최선의 대안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이같은 건교부의 판단에는 미국및 일본의 전문가들이 자문과정에서 규모
확대를 건의한 것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난해 8월 발주한 용역과정에서 미국 예일대및 하버드대
교수인 이들 전문가들이 "2011년까지로 돼있는 아산만권광역개발계획과
경부고속철도및 서해안고속도로등의 개통등 종합적인 입지여건을 고려할때
천안신도시의 개발규모를 확대,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건교부는 천안신도시개발과 관련, 그동안의 분당 일산등과 같은
신도시와는 다른 개념을 적용할 계획이다.
규모가 기존 신도시보다 훨씬 방대할뿐아니라 복합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미래의 표본적인 이상도시로 개발하는데
최우선적인 비중을 둘 생각이다.
도시규모도 50년이후를 내다보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점차 확대해
나감으로써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개발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천안신도시는 1차조성이 마무리되는 2000년대초에는 인구 30만
내외의 신도시로 시작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도권기능을 대체할 중부권
최대 거점도시로 개발될 전망이다.
건교부는 경부고속철도가 본격 운행되고 서해안고속도로, 아산-삼척
고속도로, 대산-대전고속도로등이 완공되면 이 지역이 교통.물류의 거점
지역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아산만권 개발계획이 완료되면 공업, 물류, 교통, 주거시설등이
어울려 국토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 김상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