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상승으로 산지 출하작업이 원활한 채소류가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월동배추는 햇배추(시설재배품)가 조기출하되고 있으나 월동배추의
물량이 넉넉치 못해 지난해 동기보다 두배나 높은 초강세를 시현하고 있다.

과일류도 저장물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높은 시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매기를 활발치 못한 상태이다.

수산물은 해상의 일기가 고르지못해 출항어선이 줄어든 가운데 대부분의
대중선어류가 냉동물 위주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출하량이 늘어나고 있는 연어가 물량증가로 내림세를 보이는 가운데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다.

곡물류는 일반미를 비롯 잡곡류도 수급사정이 원활한 상태에서 매기가 없어
약보합세를 지속하고 있다.

<>.가락동농산물시장 = 해남 진도지역에서 주출하되고 있는 월동배추가
물량이 넉넉치못해 상품이 포기당 지난주에 이어 5백원이 또올라 3천원선의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시금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물량이 격증해 상품이 한단에
5백원이 떨어져 1천원선에 판매되고 있고 시금치도 한단에 3백원이 내려
7백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알타리무도 공급량이 점증하자 상품이 한단에 5백원이 내려 2처5백원에
팔리고 있고 애호박도 상품이 개당 2백원이 하락해 1천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깐마늘과 양파도 상품이 kg당 5배원과 3백원이 떨어져 2천5백원과 5백원선
에 팔리고 있다.

봄나물류에서도 봄동과 돈나물 상품이 kg당 5백원씩 내려 1천원과 2천원에
냉이와 달래는 상품이 kg당 1천원씩 떨어져 2천원과 6천원선에 각각 거래
되고있다.

과일류에서도 사과(후지)와 배(신고)가 저장물량 감소로 상품이 개당
1천5백원과 5천원의 강세를 지속하고 있고 토마토도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품이 kg당 1천원이 올라 4천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노량진수산시장 = 속초 해상에서 어획되고있는 연어가 물량이 증가
하면서 마리(8백g정도)당 1천원이 내려 5천원선에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도 씨알이 적은 소 생태가 많이 들어와 하품이 마리당 5백원이 떨어져
2천원선에 팔리고 있고 청어도 상품이 마리당 1천원선의 낮은 시세를
나타내고 있다.

강세를 보이던 산낙지도 고가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상품이 마리당 5백원이
하락해 8천5백원선을 형성하고 있고 전복도 상품이 kg당 1만원이 내려 9만원
선에 판매되고 있다.

패류도 아직까지 수요가 일지않고 있어 참고막과 바지락이 kg당 2천원과
3천원선의 비교적 낮은 시세를 지속하고 있다.

<>.중앙곡물시장 = 보리쌀과 찹쌀이 말당 9천원과 2만5천원선, 참깨(수입)
와 들깨는 말당 4만원과 2만원선, 녹두(수입)는 말당 5만5천원선의 약보합세
를 각각 지속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