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할부금융사 등 금융기관들의 여.수신경쟁이 가열되면서 "단기수신.
장기여신"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금융기관들이 단기성수신을 받아 장기대출을 늘림에 따라 금융기관들의
금리리스크가 심화되고 있으며 시장실세금리의 하향안정화추세와는 달리
수신금리는 오히려 올라가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근 한일 신한 한미은행등은 최장 30년짜리
장기대출상품을 개발, 판매에 들어갔다.

또 주택할부금융사들도 최장 50년짜리 대출을 선보였다.

신용금고들도 최근 대출기간을 5년으로 연장해 대출세일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금융기관은 이같은 장기대출자금을 조달하기위해 만기1년 안팎의
단기수신에 주력하고 있다.

상업은행과 국민은행은 1년짜리 정기예금금리를 1.0-2.5%까지 올린
한시상품을 개발, 판매에 들어갔다.

또 대부분 은행들의 1년만기의 가계금전신탁을 유치하기위해 최고 2.0%
까지 받기로 돼있는 수수료(신탁보수)를 0.5%까지 인하, 배당률을 올려주고
있다.

이에따라 지난 2월 한달동안 금융기관의 1년이하 단기성수신은 6조8백
22억원이나 증가, 장기성수신 증가액 3조1천5백33억원의 배가까이에 달했다.

특히 가계금전신탁은 억원이나 증가했다.

이같은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조달금리가 상승, 대출금리 하락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특히 담보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의 금리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 수신기간과 대출기간이 맞지않는 "미스매치(mismatch)" 현상으로 단기
금리가 급등할 경우 금융기관들의 금리리스크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이와함께 대부분 금융기관이 장기대출을 늘리면서 대출담보로 부동산을
잡고 있어 부동산가격이 하락하거나 담보물건이 재건축될 경우 담보회수
마저도 의문시돼 금융기관 부실화를 재촉하는 요인이 될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원근 금융연구원연구위원은 "올해 대규모부실채권이 공개된 일본의 주전
(주택금융전문회사)이나 지난 80년대초 파산한 미국의 S&L(저축대부조합)의
경우도 금리자유화시기에 장기부동산담보대출에 자금을 운용하다 부실화
됐다"며 "국내 금융기관도 장기부동산대출이 늘어날 경우 이런 전철을
답습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 안상욱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