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관세 부과 불구, 모직물 수입 줄지 않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정관세 부과에도 불구,모직물 수입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이탈리산을 중심으로한 고가품의 수입이 크게 증가,국내 모직물산업
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소모방협회가 발표한 "소모방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모
직물(소모.방모)수출은 1억4천8백86만달러로 94년 대비 2%증가에 그친 반면
수입은 13-17%에 달하는 조정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도 1억8천8백77만달러
로 29.3%나 늘어났다.
가격도 수출은 지난해 미터당 8달러4센트로 94년보다 불과 73센트 오른데
비해 수입은 미터당 16달러36센트로 1.84달러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직물의 수입단가가 이처럼 높아진 것은 이탈리아산 고가품의 수입급증
때문으로 지난해 이탈리이산 모직물의 수입은 1억3천2백78만달러로 총수입
의 70%를 차지했다.
한편 지난해 모사 수출은 3천8백75만달러로 94년의 6천9백58만달러에 비
해 44.4%가 줄어든 반면 수입은 94년 3천8맥55만달러에서 지난해 5천25만달
러로 30.3%증가했다.
<권영설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26일자).
특히 이탈리산을 중심으로한 고가품의 수입이 크게 증가,국내 모직물산업
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소모방협회가 발표한 "소모방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모
직물(소모.방모)수출은 1억4천8백86만달러로 94년 대비 2%증가에 그친 반면
수입은 13-17%에 달하는 조정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도 1억8천8백77만달러
로 29.3%나 늘어났다.
가격도 수출은 지난해 미터당 8달러4센트로 94년보다 불과 73센트 오른데
비해 수입은 미터당 16달러36센트로 1.84달러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직물의 수입단가가 이처럼 높아진 것은 이탈리아산 고가품의 수입급증
때문으로 지난해 이탈리이산 모직물의 수입은 1억3천2백78만달러로 총수입
의 70%를 차지했다.
한편 지난해 모사 수출은 3천8백75만달러로 94년의 6천9백58만달러에 비
해 44.4%가 줄어든 반면 수입은 94년 3천8맥55만달러에서 지난해 5천25만달
러로 30.3%증가했다.
<권영설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