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사 전문업체인 P건업의 L사장은 최근 원청업체와의 창구역할을
전담해온 임원 1명을 정리하는 "파격인사"를 단행했다.

이 인사가 업계에서는 파격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하청업체의 생명줄을
쥔 대형원청업체에 대한 로비력에 따라 일년치 매출이 왔다갔다하는
중소업계의 현실때문.

그러나 L사장의답변은 간단명료했다.

"품질우선주의가 업계에 확산되면서 협력업체선정이 공정해져 이제는
실적과 기술력이 말고 로비력으로 하도급을 받는 시대는 지났다"는
설명이다.

대림산업의 협력업체인 K산업은 지난해 도산위기를 맞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국내정상급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K산업이었지만
일시적인 자금난으로 부도직전까지 몰렸던 것.

그러나 K산업의 시공력을 높게 평가한 대림의 긴급자금지원으로
부도위기를 넘겼다.

더욱이 올초에는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돼 6개월치 물량을 수의계약으로
확보했다.

"지배와 피지배, 착취와 피착취"로 규정되던 원청업체와 하도급업체의
수직적인 관계가 동반자적 수평단계로 발전하고 있는 징후들이다.

이러한 "바람직한"변화는 대형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성수대교붕괴등 각종 대형사고가 잇따라 발생한데다 건설시장개방이후
외국선진업체와무한경쟁을 벌여야 하는 대형업체의 입장에서는 이제
고품질확보가 가장 중요한 경쟁력요소로 부각됐다.

특히 품질경쟁력강화는 건설업비리의 온상이라고 지탄받아온 하도급
관계의 재정립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제 "하도급 바로세우기"가건설업계의 무엇보다도 절실한 과제로
등장한 것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올초 "중소하도급 건설업체들과의 동반자적 관계정착"을
경영이념의 하나로 정하고 150개 협력업체에 안정적인 공사물량을 확보
해주는 "선량선배정방식"을 도입했다.

또 회사내 불공정거래 신고센터와 공정거래 점검반활동을 강화,
불공정거래를 원천적으로 방지해 나가고 있으며 고충처리상담실도 운영,
연 2회이상 협력업체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삼성물산건설부문 삼성중공업건설부문 삼성엔지니어링 등 삼성그룹 3개
건설사는 전협력업체에 현금결제규모를 지난해 6,979억원에서 올해 1조
1,730억원으로 약 2배정도 확대키로 했다.

또 98년까지 협력업체의 시설투자자금으로 300억원을 조성하는 한편
하도급을 둘러싼 비리를 과감히 척결,자재납품과 하도급발주에 따른 부정의
소지가 발붙이기 어렵게 했다.

대형건설업체의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은 한차원 높은 "한 배를 탄" 공생
공존의 관계로 격상되고 있는 추세다.

가족의식없이는 우수품질의 제품생산이 어렵고 하청업체의 경영부실이
원청업체의 부실로 이어진다는 인식이 자리잡고있는데 따른 것이다.

대림산업과 선경건설 경남기업등은 우수협력업체의 ISO인증 취득지원 등
전반적인 경영지도로 지원폭을 넓히고 있다.

이들 업체는 품질보증부직원을 협력업체에 파견, 인증취득과정과 계획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요자금의 일부도 무상제공하고 있다.

또 회계 원가관리프로그램을 작성해주며 관리기법도 전수, "협력업체
끌어안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우건설은 자체개발한 기술을 우수협력업체에 이전하고 협력업체의
기술개발자금을 무제한 지원하고 있다.

협력업체 임직원의 해외연수도 실시, "대우가족"만들기에 나서고 있다.

벽산건설은 아예 우수협력업체의 계열화를 추진하고 있다.

연 12회 엄정한심사를 거쳐 93년 492개사, 94년 390개사, 95년 326개사로
협력업체를 정예화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300개사 정도로 축소할 방침이다.

이러한 소수정예화작업이 완료되면 협력업체를 설계에 참여시키는 등
중견건설업체수준으로 육성해 해외에도 동반진출할 계획이다.

이같은 협력업체육성은 중견건설업체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신안종합건설은 부실공사의 주원인이 하도급비리에서 발생한다고 판단,
"선물을 주지도 말고 받지도 말자"는 협력업체 보호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말 "의식개혁 실천결의문을 채택"하는 한편 중간간부층인
부장및 차.과장급 6명으로 구성된 "21세기 추진위원회"를 결성, 협력업체의
공정한 선발을 위임하고 있다.

원도급관계의 정상화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국내건설시장 완전개방, 품질
경쟁 강화 등으로 앞으로는 건설업전반을 규정할게 분명하다.

최근들어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탈피, 기술위주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하는게 건설업의 대세이고 보면 "하청에서 협력으로" 변모하는 원도급
관계에 이견을 달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 김태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