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가전.가구제품 등 대형생활폐기물을 내년부터는 자치구별로 처리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제조업체가 회수.처리토록 법개정을 건의키로 했다.

또 올해는 자치구들이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센터를 운영토록 유도하고 미
설치 자치구에 대해서는 하반기부터 난지도 매립지 반입을 거부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7일 "대형생활폐기물을 난지도에서 처리하는데 대해 마포
구민들이 끊임없이 반발하고 있어 대형폐기물 난지도 유입을 최소화한다는
차원에서 내년부터는 자치구 자체적으로 처리토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미 20개 자치구가 목재 대형생활폐기물을 자체처리할 재활
용센터를 마련했고 나머지 5개 자치구도 준비하고 있다"고 전하고 "재활용
센터 이용이 활성화되면 한국자원재생공사의 난지도 대형폐기물 처리공장에
서는 가전제품과 플라스틱만을 파쇄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치구들이 소파 침대 텔레비전 컴퓨터등 재활용이 어려운 대형폐기물을 외
부에 위탁해 처리할 경우 점진적인 수거료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시가 대형폐기물 처리대책을 마련한 것은 마포구가 난지도에 더이상 대
형폐기물을 반입하지 말도록 서울시에 강력히 요청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포구의회는 지난 1일 임시회에서 결의문을 채택, "폐기물의 산만한 야적
과 방치로 유해물질이 인근 주택가로 흘러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자원재생
공사는 난지도에서 철수하고 대형 폐기물처리공장을 이전할것 <>현재 진행중
인 파쇄처리시설 건설을 중단할것 <>대형폐기물 반입을 중단할것 등을 촉구
했었다. < 김광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