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동에서 서초슈퍼를 운영하는 권춘길씨는 지난해 겪었던 일을
아직까지도 잊지 못하고 있다.

여러회사의 아이스크림제품을 함께 판매하려던 그의 계획이 제조업체
대리점들의 담합으로 무산된 것이 너무 억울했기 때문이다.

그는 당초 롯데 해태 빙그레등 유명회사 제품을 골고루 갖추기 위해 각사
대리점들과 접촉했다.

그러나 그가 들은 대답은 "한 회사 제품을 선택하라"는 것이었다.

제조업체 대리점들이 출혈경쟁을 피하기 위해 새로 생기는 거래선들을
순번대로 나눠 갖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권씨는 "내 가게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게 말이
되느냐"며 "다른 회사제품을 팔면 거래를 끊겠다는 엄포 때문에 할수 없이
한 대리점과 거래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서울 구로동 신안슈퍼의 임종복씨의 경우 제조업체에서 지정한 가격대로
제품을 팔라는 요구에 분통을 터뜨렸다.

한 분유회사의 대리점이 신제품을 권장소비자가격대로 판매하라는게
부당해서였다.

대리점측의 요구를 거부한 임씨는 결국 자신의 가게에서 해당회사 분유
제품을 더이상 팔수 없게 됐다.

경남 진주에서 프라자쇼핑을 경영하는 최진호씨는 지역내에 한군데 밖에
없는 대리점의 가격횡포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케이스.

최씨는 유명화장지메이커인 V사대리점이 진주시내에 한 곳밖에 없어 어쩔수
없이 제품을 그곳에서 사들이고 있다.

최씨는 "대리점으로부터 12개들이 두루말이 화장지를 5,400원에 공급받고
있으나 대형유통업체들의 경우 소비자판매가격이 5,200~5,500원"이라며
"대형업체와 가격을 맞추려면 역마진이 생긴다"고 푸념했다.

서울 용산 터미널전자상가에서 조그만 컴퓨터가게를 운영하는 윤준호씨는
컴퓨터관련제품이 갑자기 싸게 나올 때마다 바짝 긴장한다.

메이커에서 특별할인해 판매하는 것인지, 아니면 새모델이 나오기 전에
덤핑처분하려는 것인지를 쉽게 분간할수 없기 때문이다.

윤씨는 "값이 싸다고 해서 많은 물량을 한꺼번에 구입했는데 신모델출시로
물건을 처분하지 못해 도산하는 중소상인들이 많다"며 "제조업체의 상품
정보를 갖고 있는 대형유통업체에 비해 중소영세상들은 재고부담위험이
매우 크다"고 말한다.

중소영세상들은 이같은 일들을 다반사로 겪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의 경우 막강한 바잉파워(구매력)와 경영노하우로 제조업체들
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중소영세상들은 제조업체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정양치전무는 "제조업우위시대에서 유통업
우위시대로 바뀌고 있다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대형유통업체에나 해당되는
일"이라고 강조하면서 "중소영세상들은 제조업체에 더욱 예속되고 있는 것
같다"고 안타까워했다.

일부 중소영세상의 경우 제조업체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조합을 통한
공동구매를 추진하기도 했지만 결실을 맺은 예는 거의 드물다.

부산 동부수퍼마켓협동조합은 구입단가를 낮추기 위해 최근 라면제조업체와
직거래를 트려고 시도했으나 제조회사측이 제시한 월 1억원 구매조건을 맞출
수 없어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중소영세상들에게는 제조업체의 지배에서 탈피해 조그만 분야에서라도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기가 그만큼 어려운 현실이다.

< 장규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