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월요일 회의를 자제합시다"

"서울시나 공공기관은 월요일에 회의를 하지 않나"

서울시가 기업들의 월요회의를 월요일 아침 교통정체의 한 원인으로
지목, 회의자제를 요청하고 나선데 대해 기업들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시가 서울소재 대기업 2백40개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이들기업이
지난 1,2월 2달간 갖은 회의는 모두 4천3백92건.

이중 월요일에 개최된 회의가 1백66개기업 1천2백16건으로 전체 회의
건수의 28%를 차지했다는 것이다.

또 월요회의 1천2백16건중 7백34건이 오전 9시 이전에 열려 월요일
출근시간 교통혼잡의 한 요인으로 월요회의를 지적.

시는 이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경련과 중소기업협동조합 중앙회에
산하 기업들의 회의개최요일 조정, 대중교통 이용, 영상화면을 위한
원격회의방식도입, 지역별 회의일자및 출근시간조정을 협조요구했다.

그러나 대기업들은 이같은 서울시의 요구에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미 대부분의 기업들은 자발적으로 주5일로 회의개최요일을 고르게
분산해 놓은데다 포철같은 경우 원격화상회의를 통해 거의 교통수요가
없는 편이다.

더욱이 전체회의건수의 72%가 월요일이 아닌 다른 날에 열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월요교통체증의 원인으로 기업들을 지목하고 있는 것은 문제를
"침소봉대"하는 "아전인수"격 해석이라는 입장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서울시도 월요일회의를 개최하고 있지 않느냐"며
"교통정체를 풀겠다는 서울시 입장도 이해되지만 대중교통활성화 등
제반대책을 세우지는 않고 애꿎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을 위축
시키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 김준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