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봄 서울 초.중.고교의 교장들이 "촌지안받기"를 결의했고 정부도
계속적인 교육개혁과 사정을 통해 "깨끗한 학교" "열린학교"를 외치고
있으나 촌지악습이 완전히 뿌리 뽑히지는 않은 것 같다.

촌지를 주고 받는 악습은 밭에서 잡초뽑듯이 척결되는 것은 아닌듯하다.

하나의 뿌리를 뽑고 나면 그 뒤에 다시 잡초가 돋아나기 때문이다.

촌지에는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주는 사람"을 "자기자식만 잘 봐 달라"고 부탁하는 극히 일부
사람뿐이라고 가정하고 있는데 문제가 있다.

우리사회 촌지의 뿌리는 깊고 질긴 것으로서 일반화되어 있다.

물론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묵묵히
사도를 실천하고 있다.

농어촌의 중.고교 교사중에는 촌지를 받기는 커녕 박봉을 털어 어려운
학생의 납입금을 대납해준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교사가 촌지에 오염되면 교육은 병들게 마련이다.

사도는 일그러지고 교사와 학부모간에는 불신의 벽이 높아진다.

교육부는 "교육정상화"를 위해 올해부터 종합생활기록부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제도도 촌지악습이 사라지지 않는 상황에서 공정성을 과연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자칫 촌지관행을 오히려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나 않을는지
걱정된다.

교육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사라고 규정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의 교육이 정상화될 때 우리조국의 미래는 그만큼 밝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교사와 학부모는 "촌지 주고 받기 근절"에
다 같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홍승애 < 경기 성남 분당 야탑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