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년부터 오는 2000년까지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제도의
정착을 위해 매년 1천억원씩 총 4천억원을 지원하는등 식품산업육성을 위한
금융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식품.의약품안전본부 설립을 계기로 이같은 내용의
"식품 연구개발 투자확대와 산업육성을 위한 금융지원확대방안을 마련했다.

지원방안에 따르면 공정별로 위해요소를 사전에 과학적으로 분석해 중점
감시, 관리하는 HACCP제도의 정착을 위해 97년에는 식육가공제품, 98년
수산연제품, 99년 우유및 가공제품, 2000년 냉동식품업계에 각각 1천억원씩
지원해 주기로 했다.

또 간장유해파동으로 불거진 식물성 가수분해단백질 제조시 생성되는 염소
산화물의 감소기술등 국민다소비식품의 품질개선과 각종 화학적 합성첨가물
안전성제고등 식품 안전성 연구.개발비로 올해 2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위해 복지부는 이미 각 대학및 연구기관에서 연구과제를 공모했으며
이달중 연구.개발과제를 선정,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와함께 식품위생및 동식물검역에 관한 국제협약(SPS)과 세계
무역기구체제의 발효등 식품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위해 내년에는 식품
안전성 관련 연구분야에 80억원을 투자하는등 매년 투자액을 늘려 나갈
방침이다.

복지부관계자는 "안전한 식품의 관리는 안전본부가 전담토록 하는 대신
그동한 소홀했던 식품산업의 진흥과 연구개발사업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 남궁덕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