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란 광천중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녹아있어 마시면 건강에 좋은
물을 가리킨다.

약수에 녹아 있는 광물질은 칼슘 칼륨 라듐 황산염 규산 나트륨 마그네슘
철분 등이다.

따라서 약수는 화학성분이 함유된 기준에 따라 보통 물과 구분된다.

수온의 고리와는 관계가 없으므로 온천도 포함될수 있으나 보통 냉천에
한한다.

세계 각지엔 많은 약수터가 있으나 불교와 한의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동야사회가 약수에 대한 집착이 강한 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근래 약수터를 찾는 사람이 늘어났다.

더구나 상수도원 오염의 우려때문에 무공해 생수를 약수로 보는 경우도
많아졌다.

약수는 그대로 마시는 경우가 많으나 닭 오리 꿩이 멧돼지 노루 약초
등을 넣어 탕으로 만들어 마시는 경우도 있다.

경북 주왕산국립공원의 달기약수는 닭을 삶아서 국물을 마시면 효험이
크다고해서 "달기"란 이름이 붙어졌고 설악산의 오색약수는 조선조 중엽
오색선사가 발견했고 샘물이 불교와 관계된 오색을 나타낸다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서울의 이름난 약수터는 20개소를 넘고 약수터라 불리는 곳도 100개이상을
헤아린다.

장충단약수터는 약수동이란동명이 생길 정도이고 현저동약수터는 영천이란
별명이 마침내 지명이 되고말았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약수터는 주로 강원 충북 경북 경남 등지에 많이 있다.

소화불량 위장병에 효험이 있다든가 피부병 신경통 빈형증 만성부인병
등에 약효가 있다고 생각되던 약수가 최근 서울 부산 경남 등에서 약수를
마시고 "여시니아"병에 걸리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한다.

여시니아병은 들쥐 족제비 등의 배설물에 있는 여시니아균에 의해 발생
하는 질병으로 이 세균에 오염된 물을 마시면 심한 고열 복통 설사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환경부가 이에 따라 뒤늦게나마 약수터 수질 특별관리에 나섰다는 것은
망연한 일이다.

비단 여시니아병뿐 아니라 약수터의 주변환경으로 봐 혹시 약수가 오염
돼서 인체에 오히려 해들끼치게 되지 않을까 걱정됐었다.

우리는 그동안 투자는 하지않고 과실만 얻으려한 셈이었다.

여시니아발병을 계기로 오염된 약수터는 폐쇄하고 늘 약수터의 위생관리에
주의 국민들이 안심하고 약수를 마실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