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가] "우리문화적 특성맞는 어린이프로 개발을"..방송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린이 프로그램의 질적향상을 위해서는 공영성에 바탕을 둔
장기적.제도적 차원의 편성정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위원회(위원장 김창열)는 최근 장기적인 어린이방송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내놓은 "우리나라 어린이프로그램 편성의 추이-80~95년
정기 개편내용을 중심으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어린이프로그램은 KBS, MBC로 양립된 공영방송체제
에서는 방송시간이 많고 정보.교육성 또한 강조되었지만 91년 SBS개국이후
부터는 오히려 다양성이 위축되고 오락성 위주로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KBS2와 SBS는 특히 어린이프로그램중 만화의 비율이 각각 35.2%,55.6%로
드러나 새로운 유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어린이대상 만화.외화프로그램의 수입물비율이 92년의
경우 71.4%로 수입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도 미국과 일본이 각각 48.1%와 35.9%를 차지해 특정국가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방송위는 수입국의 다변화와 함께 우리나라의 문화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제작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일자).
장기적.제도적 차원의 편성정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위원회(위원장 김창열)는 최근 장기적인 어린이방송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내놓은 "우리나라 어린이프로그램 편성의 추이-80~95년
정기 개편내용을 중심으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어린이프로그램은 KBS, MBC로 양립된 공영방송체제
에서는 방송시간이 많고 정보.교육성 또한 강조되었지만 91년 SBS개국이후
부터는 오히려 다양성이 위축되고 오락성 위주로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KBS2와 SBS는 특히 어린이프로그램중 만화의 비율이 각각 35.2%,55.6%로
드러나 새로운 유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어린이대상 만화.외화프로그램의 수입물비율이 92년의
경우 71.4%로 수입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도 미국과 일본이 각각 48.1%와 35.9%를 차지해 특정국가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방송위는 수입국의 다변화와 함께 우리나라의 문화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제작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