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전문인력이 갈곳이 없다.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 환경관련학과가
크게 늘어났고 환경관련 자격증 취득자도 급증했지만 아직 기업이나
공공기관등의 수요가 부족,환경전문인력들의 사회적 활용도가 극히
저조한 때문이다.

4일 관련기관에 따르면 80년대 중반 이후 환경관련학과가 앞다퉈
설치돼 현재 전국 62개대학에 환경공학과 환경과학과등의 입학정원만도
4천여명에 달하고 있다.

또 환경관련 자격증도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기사
1.2급과 환경기능사등 모두 9종에 달하고 지난해 한해동안만 7천2백
여명이 관련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러나 공공기관과 기업체등의 환경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극히
제한돼 있어 자격증을 갖고 있어도 전문인력들이 환경관련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는 극히 힘든 실정이다.

총무처에서 일괄실시하는 7급이하 공무원 공개채용의 경우 환경직을
따로 모집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5급에 한해 3명을 모집했고 올해 5명을 채용할 계획만
갖고 있을 뿐이다.

총무처관계자는 "화공이나 토목 건축직등에서 환경관련 인력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7급이하 공개채용시 환경직을 따로
뽑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올해 서울시 지방공무원 채용에서 별정직으로 수질환경기사
2급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에 한해 모집한 환경관리기사직종에는
3명모집에 2백73명이 몰려 무려 91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또 수질이나 대기환경기사 1급이상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에 한해
자격을 제한했던 환경연구직에도 5명모집에 2백48명이 응시,50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 삼성 현대 대우등 대부분 대기업에서도 환경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을 대상으로 신입사원을 모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쌍용그릅도 지난해 1천5백여명의 신입사원을 뽑았지만 환경직종을
따로 뽑지 않았고 한진그룹도 마찬가지다.

이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기업들사이에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
생산현장등 환경전문인력이 요구되는 사업장에 필요한 적정인력은
1~2명에 불과한 실정에 따른 것이다.

선경그룹 경영지원팀 김도성과장(35)은 "환경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특별히 모집해야 할 수요가 발생하지 않고 있고 환경관련 신규사업을
벌일 때도 기존 인력에 대한 교육을 통해 신규부서에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환경관련 자격증을 관리하는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요를 근거로 자격증을 관리하는 체계를 갖추지
못한 채 단순히 자격증 시험과 발급만을 되풀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관련 아주대 환경공학과 조순행교수는 "전문지식을 가진 인력이
전문분야에 활용되지 못한다면 사회적인 낭비만 초래될 것"이라며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전반적으로 좋아지고 있지만 아직
취업에서는 특별한 인센티브가 없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환경인력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준현.김남국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5일자).